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Article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Vol. 22, No. 4, pp.361-376
ISSN: 1226-5012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Dec 2017
Received 01 Dec 2017 Revised 16 Dec 2017 Accepted 26 Dec 2017
DOI: https://doi.org/10.14479/jkoos.2017.22.4.361

병원 근무 안경사의 직무 분석에 대한 연구
: 교육 중요도와 필요도 중심으로

변종철1 ; 최지영2, *
1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제주
2제주관광대학교 안경광학과, 제주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the Optician in Hospital
: Focusing on Importance and Needs of Education
Jong Chul Byun1 ; Ji Young Choi2, *
1Dept. of Chemistry & Cosmetic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3243, Korea
2Dept. of Ophthalmic Optics, Jeju Tourism University, Jeju 63063, Korea

Correspondence to: *Ji Young Choi, TEL: +82--64-750-3527, E-mail: chemji@ctc.ac.kr


초록

목적

병원에서 근무하는 안경사의 직무 및 해당 산업체에서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교육 필요도와 교육 중요도를 분석하여 산업체가 요구하는 직무 능력을 갖춘 안경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2017년 9월 1일부터 2017년 10월 31일까지 전국의 안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남녀 안경사 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안경사의 안과로의 취업의 주된 이유는 안경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근무시간 때문이었으며(1일 평균 근무시간 8시간 이하 68.5%, 1주일 평균 근무시간 40시간 이하 41.4%), 또한 이를 안과 근무의 장점으로 여기는 응답도 77.8%로 높게 나타났다. 안과검사 장비를 이용한 눈검사(27.2%), 굴절검사(24.9%), 콘택트렌즈(13.0%), 검사결과에 대한 환자 설명 및 교육(12.3%), 수술상담(11.1%), 수술 및 진료 보조(6.1%), 수술장비 점검(5.4%)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병원 근무 시 요구되는 가장 큰 직무능력으로 굴절검사능력(38.4%), 안과질환 관련 지식(28.8%), 각종 눈검사 장비를 다룰 수 있는 숙련 기술(27.4%), 콘택트렌즈 관련 지식(2.7%), 의학용어 이해(2.7%)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안과검사 장비를 이용한 눈검사가 주된 직무인 안경사들은 의학용어(베타 = 0.569), 안과질환(베타 = 0.517), 굴절검사 및 시기능검사(베타 = 0.380), 안과검사 장비를 다루는 기술(베타 = 0.408), 안과수술(베타 = 0.330), 간호조무(베타 = 0.429) 교육에 대해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가 주된 직무인 안경사들이 안과질환(베타 = 0.371)과 굴절검사 및 시기능검사 교육(베타=0.695)에 대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안과병원으로 취업하는 안경사들의 주된 취업 이유는 짧은 근무시간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근무 안경사들의 일반적 특성, 안경원 근무 경력 및 주로 맡고 있는 직무에 따라 직무에 대한 교육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에 대한 인식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s for training and educational importance of the tasks performed by the opticians at hospitals and the tasks in relevant industries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training the opticians with the job skills required by the industry.

Methods

From September 1st, 2017 to October 31st, 2017,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73 male and female opticians working in ophthalmologic clinics nationwide.

Results

The main reason for opticians to seek a jobs of ophthalmic clinics was relatively the short working hours (68.5% for average working hours less than 8 hours per day, 41.4% for less than 40 hours of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and high number of respondents (77.8%) answered short working hours as the advantage of working at an ophthalmic clinic. For the optician’s tasks, eye examination using ophthalmic examination equipment (27.2%)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refractive examination (24.9%), contact lens related tasks (13.0%), explanation and education on test results for patients (12.3%), surgical consultation (11.1%), surgery and medical care assistance (6.1%), and surgical equipment check (5.4%). The skills required at for the ophthalmic clinics was the highest for refractive examination (38.4%) followed by knowledge on eye diseases (28.8%), skills to handle various eye examination equipments (27.8%), contact lens related knowledge (2.7%) and understanding medical terminology (2.7%). Opticians who are mainly engaged in eye examination using ophthalmologic examination equipments thought the most importance task for on medical terminology (beta = 0.569) followed by ophthalmologic disease (beta = 0.517), refraction and visual function examination (beta = 0.380), skills to handle various eye examination equipments (beta = 0.408), eye surgery (beta = 0.330), and nursing practice (beta = 0.429) trainings. Opticians, whose main job is contact lenses, thought that they need more training in eye disease (beta = 0.371) and refraction and visualization examination (beta = 0.695).

Conclusions

The main reason for the opticians seeking to work in ophthalmologic clinics was the short working hours. Awareness of importance of educational, and the need of training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pticians working at the hospital, the career of the optician, and the main task of the opticians.

Keywords:

Optician, Working in hospital, Task, Training need, Education importance

키워드:

안경사, 병원근무, 직무, 교육 필요도, 교육 중요도

서 론

현행 의료기사 등의 법률에 따르면 안경사는 시력보정용 안경의 조제 및 판매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다.[1] 이 법률이 처음 제정된 1987년에는 안경 사용은 잘 보이도록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으나 현재는 단순 굴절이상 교정에서 더 나아가 편안하고 쾌적한 시생활이 가능하기 위한 것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2] 또한 과거 안경사들의 주된 취업처는 안경원이었으나, 이제는 안과병·의원으로의 취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3년 옵티위클리에서 실시한 10개 대학 졸업자의 신입 안경사 취업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24%가 안과 병·의원으로 취업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안과에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는 대략 3~4천명으로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또한 안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안경사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대한검안사학회를 구성하였으며 현재 해당 학회에 소속된 안경사는 전체 500여 명에 이르며 이들은 학회에서 진행하는 학회를 이수하는 것으로 보수교육을 대체하고 있다.[4]

안경사의 직무에 관해 한국보건의료인시험원이 주관하여 2000, 2013년 2차례 직무 분석을 실시[5,6]하였으며 그 외에도 안경사의 직무스트레스,[7] 감정노동,[8] 직무만족도,[9,10] 이직율,[10] 안경사 복지관련 실태,[11] 재학생의 희망 안경사 복지 개선[12]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선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선행연구들은 주로 안경원에 근무하는 안경사의 직무와 직무 환경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으며 안경원 이외의 분야로 취업하는, 특히 안경원 다음으로 취업하는 안경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안과 병·의원에서 수행하게 되는 안경사의 직무를 분석한 연구는 진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안경사들의 직무 분석 및 직무에 대한 교육 필요도와 중요도에 대해 조사하여 해당 산업체로의 취업을 희망하는 안경사들의 직무능력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자 선정

설문 대상자는 안경사 면허를 취득하고 전국의 안과 병·의원에서 근무하는 남녀 안경사 73명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1일부터 2017년 10월 31일까지 전자 메일 또는 출력한 설문지에 직접 기재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2. 연구방법

조사 대상자들을 위한 사회학적 특성(연령, 성별, 최종학력, 결혼여부), 근무하는 산업체와 관련된 항목(근무하는 산업체의 종류, 근무연차, 근무지역, 1일 평균 근무시간, 1주일 평균 근무시간, 주말 또는 휴일 근무 여부 등), 병원에서 주로 수행하는 직무 및 이와 관련된 교육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5점 척도)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3. 자료 처리 및 분석

본 연구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에 응한 총 참여 인원수는 73명이며, 응답자 중 남성은 25명(34.2%), 여성이 48명(65.8%)이다. 응답자의 연령분포는 22~25세 11명(15.1%), 26~30세 36명(49.3%), 31~35세 14명(19.2%), 36~40세 4명(5.5%), 41~45세 5명(6.8%), 46세 이상 3명(4.1%)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대한 응답으로는 미혼이 60명(82.2%), 기혼 13명(17.8%)로 조사되었다. 응답자의 최종 학력 분포는 전문대졸이 60명(82.2%), 4년대졸 9명(12.3%), 석사 2명(2.7%), 박사 1명(1.4%), 미응답 1명(1.4%)으로 나타났다(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2. 연구 대상자의 근무환경 특성

근무연차는 1년 이하 16명(21.9%), 2~4년차 14명(19.2%), 5~7년차 22명(30.1%), 8~10년차 11명(15.1%), 11~13년차 1명(1.4%), 14~16년차 4명(5.5%), 17~19년차 3명(4.1%), 20년차 이상 2명(2.7%)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근무지역별 분포는 광역시 52명(71.2%), 시 21명(28.8%)로 조사되었다. 근무처 종류에 따른 분포는 대학병원 5명(6.8%), 종합병원 3명(4.1%), 안과병원 13명(17.8%), 안과의원 52명(71.3%)으로 나타났다(Table 2).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ork environment

병원 근무 안경사의 근무 연차에 따른 분포를 보면 5~7년차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1년 이하의 연차가 전체 응답자의 21.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옵틱위클리에서 조사한 대학졸업자의 신입 안경사 취업 조사[3]에서 안과 취업이 차지하는 비율 24%와 유사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전에는 졸업 후 안경원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안경사가 안과병원으로 이직이 많았다면 현재는 안경광학과를 졸업하면서 안경사 면허증을 가지고 취업하는 첫 직장으로 안과 병·의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응답자의 근무지역별 분포는 광역시가 전체 응답의 71.2%를 차지할 정도로 높게 조사되었으며 이는 2015년 기준 우리나라 의사 인력의 58.8%가 대도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비율,[13] 개설된 안과 병·의원의 약 73%가 도시에 분포하고 있는 비율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2] 안경사가 개설할 수 있는 안경원과는 달리 안과 병·의원의 경우 안경사는 이미 개설되어 있는 병원에 종사자로 취업해야 하기 때문에 안과 의사 인력과 개설 병원 분포와 연관성 있는결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일 평균 근무시간별 분포는 8시간 미만 3명(4.1%), 8시간 47명(64.4%), 8시간 이상 22명(30.1%), 미응답 1명(1.4%)으로 나타났다. 1주일 평균 근무시간은 30시간 미만 2명(2.7%), 40시간 29명(38.7%), 40~50시간 34명(46.6%), 50시간 이상 7명(9.6%), 미응답(1.4%)으로 나타났다. 주말 또는 공휴일 근무 여부에 대한 응답으로는 근무한다가 49명(67.1%), 근무하지 않는다 21명(28.8%), 미응답 3명(4.1%)으로 조사되었다.

급여는 150만원 미만 3명(4.1%), 150~250만원 51명(69.9%), 250~350만원 11명(15.1%), 350만원 이상 8명(11.0%)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안경원과 안과 근무 안경사들을 대상으로 한 Chung 등[9]의 연구에서의 월급여액이 100~200만원이 54.2%, 200~300만원이 29.1%로 조사된 것과 비교하였을 때 안과병원과 안경원 근무에서 급여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Lee 등[12]에 의하면 안경원에 근무하는 안경사의 1일 근무시간은 11~12시간이 가장 많았고 이들의 불만족도는 80.8%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비해 본 연구에서 조사된 안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안경사들의 1일 평균 근무시간은 법정 근무시간인 8시간이 64.4%로 나타나 안경원보다 안과 병·의원 근무자의 근무시간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안경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근무시간은 업무의 효율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1주일 평균 근무시간도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했을 때를 기준으로 한 40시간 이하로 근무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41.4%로 안경원 근무자에 비해 상당히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말 또는 공휴일에 근무한다는 응답이 전체 응답의 67.1%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안과 병·의원에서 휴일 근무가 상당 부분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71.3%의 조사대상자들이 안과의원에 근무하고 있는데 의원의 경우 토요일 오전 진료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늘어난 안과의원간 경쟁으로 인해 야간과 일요일 진료를 하는 병원이 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3. 안경원 근무 경력자의 병원으로의 이직

병원 근무 전 안경원 근무 경력 여부에 대해서 경험이 있다 27명(37.0%), 없다 45명(61.6%), 미응답 1명(1.4%)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안경원 근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안과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질의를 실시하였다. 안경원 근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연구 대상자들의 안경원 근무 경력 분포는 1년 이하 17명(63.0%), 2년 4명(14.8%), 3년 2명(7.4%), 5년 2명(7.4%), 미응답 2명(7.4%)로 조사되었다. 안경원에서 안과로 근무처를 옮기게 된 계기를 묻는 질문에 안경원에 비해 근무시간이 짧아서라는 응답이 12명(44.5%)으로 가장 많았으며, 병원 근무가 매력적으로 느껴져서라는 응답이 8명(29.6%), 새로운 직무에 대해 도전하기 위해서가 5명(18.5%), 급여가 더 높아서 1명(3.7%), 안경원 내원고객 응대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에 1명(3.7%)인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안경원보다 안과 근무의 장점에 관한 질문에 근무환경(근로시간, 주말 휴무 등)이라는 응답이 21명(77.8%)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객응대로 인한 스트레스 감소가 3명(11.1%), 직업적 긍지(굴절검사 처방 결과에 대한 환자들의 높은 신뢰) 3명(11.1%)으로 각각 나타났다.

병원 근무 전 안경원 근무 경력이 없다는 응답이 61.6%로 나타난 것은 신입 안경사들의 안과로 취업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부분은 안경원 근무 경험이 있는 안경사들의 안경원 근무 경력을 보면 보다 명확해진다. 안과에서 근무하고 있는 안경원 근무 경력자의 63.0%가 1년 이내에 안과 병원으로 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안경사의 복지 문제 중의 하나인 근무시간이 주된 원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안경원에 비해 안과 근무의 장점에 관한 질문에 77.8%에 해당하는 응답자가 근무환경(근로시간, 주말 휴무 등)이라고 응답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4. 병원 근무 희망 시기와 병원 근무를 하게 된 계기

병원 근무를 희망한 시기에 대해서는 안경광학과 재학시부터라는 응답이 22명(30.1%), 안경광학과 졸업 즈음 28명(38.4%), 안경원 근무 후 20명(27.4%), 미응답 3명(4.1%)으로 나타났다.

병원 근무를 하게 된 계기에 대한 응답으로는 병원 근무가 매력적으로 느껴져서 13명(17.8%), 근무시간, 휴일 휴무 등의 근무환경이 안경원보다 나아서 46명(63.0%),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안경사로서의 직업적 긍지를 보다 느낄 수 있어서 10명(13.7%), 미응답 4명(4%)으로 나타났다.

병원 근무 희망 시기에 관한 응답에서 전체 응답자의 68.5%가 적어도 안경광학과 재학 중에 이미 병원 근무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광학과 재학기간에 이미 근무시간, 휴일 휴무 등의 근무환경을 염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현장실습을 주로 안경원으로 가게 되는데 안경원 현장에서 직접 겪은 장시간 근무로 인한 어려움을 간접적으로나 경험하게 되어서인 것으로 생각된다.

5. 병원 근무 시 주로 수행하는 직무

근무하는 병원에서 주로 맡고 있는 직무에 대해 안과검사 장비를 이용한 눈검사 27.2%, 굴절검사가 24.9%, 콘택트렌즈 13.0%, 검사결과에 대한 환자 설명 및 교육 12.3%, 수술상담 11.1%, 수술 및 진료 보조 6.1%, 수술장비 점검 5.4% 순으로 나타났다(중복응답)(Fig. 1).

Fig. 1.

Distribution of major job.

한국에서 안경사 면허를 소지하고 안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사람을 일반적으로 검안사라고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들은 주로 굴절이상안의 교정도수 처방과 안과질환 환자 치료에 필요한 시기능 검사를 주된 업무로 하고 있다.[14]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에서처럼 안과 병원에서의 안경사의 주된 업무는 안과장비를 활용한 눈검사와 굴절검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안과 취업을 희망하는 안경면허 소지자 또는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관련 직무에 대한 심화 교육을 실시할 경우 성공적인 취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병원 근무 시 요구되는 가장 큰 직무능력에 대한 응답으로 의학용어 이해 2명(2.7%), 안과질환 관련 지식 21명(28.8%), 굴절검사능력 28명(38.4%), 각종 눈검사 장비를 다룰 수 있는 숙련기술 20명(27.4%), 콘택트렌즈 관련 지식 2명(2.7%)으로 나타났다(Fig. 2).

Fig. 2.

The greatest job skill required at hospital.

병원 근무 시 의학용어 이해와 콘택트렌즈 관련 지식에 대한 능력보다는 안경사의 가장 기본이자 중요한 직무인 굴절검사능력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안질환 관련 지식과 눈검사 장비를 다룰 수 있는 기술로 나타났다.

병원 근무 시 간호조무사 자격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1.4%, 필요하다 11.0%, 보통이다 41.1%, 필요하지 않다 39.7%, 절대 필요하지 않다 6.8%로 각각 나타났다. 간호조무사 자격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묻는 질문에 대해 간호조무사 업무(환자에게 주사, 수술실 동행 등)를 같이 병행하기를 원하는 안과의사의 요구에 부합해서라는 응답이 77.8%로 가장 높았으며, 간호조무사 자격이 있을 경우 급여가 인상될 수 있어서라는 응답이 11.1%, 검안사로서의 직무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어서라는 응답이 11.1%로 각각 나타났다.

간호조무사 자격에 관한 질문 사항은 병원 근무 안경사의 직무 중 간호조무사가 주로 맡는 병원 프론트 업무, 환자에게 주사 등의 업무를 안경사가 일부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응답 결과, 대부분의 병원 근무 안경사는 간호조무사 자격 취득의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경우 이는 대부분 병원 업무의 주체가 되는 의사의 요구도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분야별 직무 교육 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경원 근무 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분야별 직무 중요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의학용어 교육 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안과검사장비 이용 눈검사 직무를 주로 맡고 있는 응답자들일수록 의학용어 교육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 0.569)(Table 3).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medical terminology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안과질환 교육 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안과질환 교육을 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베타 = −0.354), 안과검사장비 이용 눈검사 직무를 주로 맡고 있는 응답자들일수록 안과질환 교육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 0.517)(Table 4).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ophthalmic diseases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굴절검사 및 시기능검사 교육 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연령이 높은 응답자들일수록(베타 = 0.759),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이 긴 응답자들일수록(베타 = 0.276), 미혼인 응답자들일수록(베타 = 0.331), 주로 맡고 있는 직무가 콘택트렌즈(베타 = 0.526)와 안과검사장비 이용 눈검사일수록(베타 = 0.380) 굴절검사 및 시기능검사 교육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test of refraction and visual function

굴절검사는 안경사의 주된 직무 영역으로 안경원 근무 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직무 능력이다. 그리고 시기능검사는 단순 굴절이상 교정에서 나아가 편안한 시생활 영위를 목표로 진화하는 안경 처방에 그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여러 안경사 직무 능력 향상 교육기관들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굴절검사와 시기능검사가 안경원에 근무하는 안경사 직무영역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병원 근무 시에도 요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의료코디네이터 교육 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연령이 높은 응답자들일수록(베타 = 1.128), 주로 맡고 있는 직무가 수술 및 진료보조인 응답자일수록(베타 = 0.341) 의료코디네이터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medical coordinator

연령이 높을수록 환자를 직접 검사하는 일반 직책이 아닌 근무하는 안경사들을 관리하거나 병원 업무를 관장하는 관리자 직급일 가능성이 커진다. 이처럼 관리자들은 검사 자체를 실시하기보다는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필요한 교육을 하거나 수술 안내 등을 하게 되므로 이러한 업무를 담당하는 의료코디네이터에 대한 교육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주 업무가 수술 및 진료보조인 경우, 수술과 관련한 상황들을 환자에게 설명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서 의료코디네이터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5)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안과검사 장비를 다루는 기술 교육 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안과검사장비 이용 눈검사를 주로 맡고 있는 응답자들일수록 안과검사장비를 다루는 교육에 대하여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 0.408)(Table 7).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technique handling ophthalmic examination equipment

6)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안과수술 교육 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안과검사장비를 이용한 눈검사를 주로 맡고 있는 응답자들일수록 안과수술 교육에 대하여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 0.330)(Table 8).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ophthalmic surgery

7)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간호조무 교육 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연령이 높은 응답자들일수록(베타 = 0.846), 주로 맡고 있는 직무가 안과검사장비를 이용한 눈검사(베타 = 0.429)일수록, 수술 및 진료 보조일수록(베타 =0.311) 간호조무 교육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9).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nurse assistance

이 중 주된 직무가 안과검사장비를 이용한 눈검사와 수술 및 진료 보조 업무인 안경사들이 간호조무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은 해당 업무들을 수행함에 있어 약물 주사 및 관련 장비 소독 등 간호조무사가 수행하는 업무들이 연관되어 있어 이들 업무와 관련된 내용들을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다면 본인들이 주로 수행하는 직무들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라고 생각된다.

7.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분야별 직무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경원 근무 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분야별 직무 필요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의학용어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안경원 근무 경력이 있는 응답자들일수록 의학용어 교육필요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베타 = 0.242)(Table 10). 안경원 근무 시에는 의학용어 사용이 병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안경원 근무 후 안과 병원으로 이직한 안경사의 경우 처음부터 병원에 근무한 안경사에 비해 병원에서 사용하는 의학용어에 익숙하지 않아 의사가 지시하는 검사 항목의 이해와 수행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안경원 근무 경력이 있는 안경사들이 의학용어에 대한 교육 필요도가 높게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necessity of medical terminology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안과질환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이 긴 응답자일수록(베타 = 0.279), 주로 맡고 있는 직무가 콘택트렌즈일수록(베타 = 0.371) 안과질환 교육에 대하여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로 맡고 있는 직무가 수술 장비 점검이라고 응답한 안경사들이 상대적으로 더 안과질환 교육에 대하여 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 −.455)(Table 11).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necessity of ophthalmic diseases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이 길수록 여러 안과질환을 접하게 될 기회가 많을 것이며 따라서 안과질환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콘택트렌즈는 눈에 직접 착용하는 시력보정용구이기에 이로 인해 유발 가능한 부작용이 다양하다. 따라서 주로 맡고 있는 직무가 콘택트렌즈인 경우, 콘택트렌즈로 인해 초래되는 안과질환 대한 이해도가 더 요구되고 이러한 요구에 의해 안과질환 교육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굴절검사 및 시기능검사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콘택트렌즈를 주된 직무로 하고 있는 응답자들일수록 굴절검사 및 시기능검사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베타 = 0.695), 수술 장비 점검을 주된 직무로 하고 있는 응답자들일수록 굴절검사 및 시기능검사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 −0.393)(Table 12).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necessity of test of refraction and visual function

알맞은 콘택트렌즈 처방을 위해서는 착용자의 굴절이상, 각막 직경과 굴절력, 착용시간, 작업거리, 직업, 안정피로 등 다양한 부분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굴절검사와 시기능검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콘택트렌즈가 주된 직무인 안경사들에게서 이와 관련된 교육의 필요성이 높게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의료코디네이터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연령이 높은 응답자들일수록 그렇지 않은 응답자들에 비해 의료코디네이터 교육을 더 필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베타 = 1.244), 안과검사장비 이용 눈검사를 주된 직무로 삼고 있는 응답자들이 의료코디네이터 교육에 대해서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0.313)(Table 13).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necessity of medical coordinator

5)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안과검사 장비를 다루는 기술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종속변수와 안과검사장비를 다루는 기술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Data does not shown).

6)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안과수술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종속변수와 안과수술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Data does not shown).

7)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간호조무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종속변수와 간호조무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Data does not shown).


결 론

1. 병·의원에서 근무하는 안경사들의 근무환경을 분석한 결과, 근무년차가 5~7년차가 가장 많았으며 1년 이하의 연차가 전체 응답자의 21.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경광학과를 졸업하고 나서 첫 취업처로 안과 병·의원으로 취업하는 안경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1주일 평균 근무시간은 주 5일 근무 1일 8시간 근무로 주 40시간 이하 근무가 42%로 안경원 근무보다 근무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말 또는 휴일에 근무한다는 응답이 67.1%로 안과 병·의원에서도 완전한 휴일 휴무는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급여는 전체 응답자의 69.9%가 150만원~250만원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이는 안경원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전체 연구 대상자 중 안경원 근무 경력이 있는 안경사들을 대상으로 병원으로의 이직하게 된 계기가 안경원에 비해 근무시간이 짧아서라는 응답이 4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안경원보다 안과 근무의 장점으로 근무환경(근로시간, 주말 휴무 등)이라는 응답이 7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병원 근무 전 안경원 경력이 없다는 응답이 61.6%로 나타났으며, 안경원 근무 경력자의 63.0%가 1년 이내에 안경원에서 안과 병·의원으로 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신입 안경사가 안경원보다는 안과로의 취업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안경원으로 취업하는 경우도 빠른 시간 내에 병원으로 이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은 무엇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근무시간인 것으로 파악된다.

4. 병원 근무를 희망하게 된 시기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68.5%가 졸업 전에 이미 병원 근무를 희망한다고 조사되었다.

5. 병원 근무 시 주로 수행하는 직무에 대해 안과검사 장비를 이용한 눈검사(27.2%), 굴절검사(24.9%), 콘택트렌즈(13.0%), 검사결과에 대한 환자 설명 및 교육(12.3%), 수술상담(11.1%), 수술 및 진료 보조(6.1%), 수술장비 점검(5.4%)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병원 근무 시 요구되는 가장 큰 직무능력으로 굴절검사능력(38.4%), 안과질환 관련 지식(28.8%), 각종 눈검사 장비를 다룰 수 있는 숙련기술(27.4%), 콘택트렌즈 관련 지식(2.7%), 의학용어 이해(2.7%)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6.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분야별 직무 교육 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과검사장비를 이용한 눈검사가 주된 직무인 안경사들의 경우, 의학용어 교육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 0.569).

안과검사장비를 이용한 눈검사가 주된 직무인 안경사들이 안과질환 교육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 0.517).

연령이 높을수록(베타 = 0.759), 1주일 평균 근무시간이 길수록(베타 = 0.276), 미혼일수록(베타 = 0.331), 콘택트렌즈(베타 = 0.526)와 안과검사장비를 이용한 눈검사(베타 = 0.380)가 주된 직무인 안경사들이 굴절검사 및 시기능검사 교육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베타 = 1.128), 수술 및 진료보조가 주된 직무(베타 = 0.341)인 안경사들이 의료코디네이터 교육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과검사장비를 이용한 눈검사가 주된 직무인 안경사들이 안과검사장비를 다루는 기술(베타=0.408)과 안과수술(베타 = 0.330) 교육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베타 = 0.846), 안과검사장비를 이용한 눈검사(베타 = 0.429)와 수술 및 진료 보조(베타 = 0.311)가 주된 직무인 안경사들이 간호조무 교육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경원 근무경력, 주로 맡고 있는 직무와 분야별 직무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경원 근무 경력이 있는 안경사들의 경우, 의학용어 교육 필요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 0.242).

1주일 평균 근무시간이 길수록(베타 = 0.279), 콘택트렌즈가 주된 직무(베타 = 0.371)인 안경사일수록 안과질환 교육 필요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가 주된 직무인 안경사일수록 굴절검사 및 시기능검사 교육에 대한 필요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 0.695).

연령이 높을수록 의료코디네이터 교육에 대한 필요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 1.244).

과거에는 안경광학과를 졸업하고 안경사 면허를 취득하면 안경원으로의 취업이 당연시 되었다. 그러나 안경원의 긴 근무시간, 타직종 근무자에 비해 정기 휴무일 부족, 주말 휴무에 대한 높은 요구 등에 기인하여 타 직종으로 이탈률이 높으며 동종 계통인 안과로의 취업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취업처의 선호도 변화에 발맞추어 안과에서 주로 수행하는 직무 분석과 직무별 교육 중요도와 필요도를 파악하여 해당 분야의 산업체로 취업을 희망하는 안경사들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안과로의 취업의 주된 이유가 안경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근무시간 때문이었으며, 이를 안과 근무의 장점으로 여기는 응답 또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안과 근무 시에도 안경사의 필수 직무 영역인 굴절검사 및 시기능검사 직무의 수행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안경사들의 일반적 특성, 안경원 근무 경력 및 주로 맡고 있는 직무에 따라 직무에 대한 교육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에 대한 인식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안과 병원에 근무하는 안경사들의 표본군이 적어 이를 전체 직무를 대표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추후 표본군을 확대하고 또한 세분화한 직무 분석을 토대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학년도 제주대학교 교원성과지원사업에 의해 연구되었음.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2017 scientific promotion program funded by Jeju National University.

References

  • Ko, KY, 2017 Health & medical laws for opticians, Ed., Seoul, Edu Factory, (2017), 148.
  • Seo, JM, Kim, JD, Kim, HS, Shin, HS, Kim, SH, The need for change of Korean optician(optometrist) system,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 20(4), p527-536. [https://doi.org/10.14479/jkoos.2015.20.4.527]
  • OpticWeekly, Employment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ophthalmic hospital, (2013), http://opticweekly.com/news/view.php?idx=3643(5 October 2017).
  • Korea Academy of Optometry, Introduction of society, (2017), http://www.koreaoptometry.or.kr/page/sub1_1(20 September 2017).
  •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Optician job description, (2000), http://kiss.kstudy.com/public/public3-article.asp?key=60013715(1 October 2017).
  •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The secondary research report about job analysis of optician, (2013), https://rnd.kuksiwon.or.kr/last/selectLastDetail.do?MENU_ID=C-01-01&reportno=RE02-1308-17&sYear=&sJssfc_code=15&sResearchindexcd=&researcherid=&sRsrchtasknm=&PAGE_NUM=1&PER_PAGE=10&IS_PAGE_NEW_SEARCH=Y&TOTAL_PAGE=4(13 September 2017).
  • Hwang, HY, Kim, HM, Kim, IS, Son, JS,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optician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 18(1), p1-10. [https://doi.org/10.14479/jkoos.2013.18.1.001]
  • Kim, JS, Bae, HJ, Eom, JH, Lee, HJ,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of Busan and Gyeongnam optician, J Vis Sci, (2015), 17(1), p9-19.
  • Chung, SJ, Mah, KC, A survey on the job satisfaction of opticians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n J Vis Sci, (2003), 5(2), p33-44.
  • Kim, SJ, Park, JH, Ye, KH, on optician’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Korean J Vis Sci, (2012), 14(4), p323-330.
  • Shin, HS, Kim, JS, Park, SH, Park, SC, Survey on the welfare of optometrists in Busan, Korean J Vis Sci, (2013), 15(4), p361-375.
  • Lee, SM, Kim, JH, Survey on the welfare of optometristophthalmic optics students, Korean J Vis Sci, (2015), 17(4), p385-394.
  • Korean Medical Association, Annual report Membership Statistic Korea Medical Association, (2015),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544045(17 December 2017).
  • Lee, HM, Jung, SH, Kim, DY, An inquiry into institutionalization of eye-examiner in Korean ophthalmic clinics - focusing on a survey of orthoptist systems in Japan and English-speaking world-,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9), 14(1), p87-95.

Fig. 1.

Fig. 1.
Distribution of major job.

Fig. 2.

Fig. 2.
The greatest job skill required at hospital.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umber Percentage
Gender Male 25 34.2
Female 48 65.8
Total 73 100.0
Age 22~25 11 15.1
26~30 36 49.3
31~35 14 19.2
36~40 4 5.5
41~45 5 6.8
Over 46 4 4.1
Total 73 100.0
Marriage Married 13 17.8
Unmarried 60 82.2
Total 73 100.0
Education
level
Collage 60 82.2
University 9 12.3
Master 2 2.7
Doctor 1 1.4
No answer 1 1.4
Total 73 100.0

Table 2.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umber Percentage
Work
experience
< 1 year 16 21.9
2~4 years 14 19.2
5~7 years 22 30.1
8~10 years 11 15.1
11~13 years 1 1.4
14~16 years 4 5.5
17~19 years 3 4.1
20 years 2 2.7
Total 73 100.0
Working
area
Metropolitan city 52 71.2
City 21 28.8
Total 73 100.0
Workplace University hospital 5 6.8
General hospital 3 4.1
Ophthalmic Hospital 13 17.8
Ophthalmic Clinic 52 71.3
Total 73 100.0

Table 3.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medical terminology

Dependent variable
: Education importance of medical terminology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B S.E. Beta
**: p<0.01
R2: 0.376
Modified R2: 0.129
Independent
variable
(Constant) .426 1.388
Age .006 .044 .057
Gender (male=1, female=0) .030 .229 .021
Education level .132 .186 .102
Period of experience −.019 .040 −.142
Working area (metropolitan city=1, remainder=0) .088 .245 .056
Workplace (clinic=1, remainder=0) .050 .262 .032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214 .217 .164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219 .165 −.210
Weekend work (yes=1, no=0) −.147 .250 −.098
Salary .065 .267 .070
Marriage (unmarried=1, married=0) −.138 .363 −.075
Work experience in optical shop (yes=1, no=0) .060 .189 .043
Major job Refraction test .172 .331 .077
Contact lens .125 .312 .092
Eye examination by using ophthalmic equipment 3.194 .886 .569**
Patient explanation and education on test results .026 .261 .019
Surgical equipment check −.212 .328 −.127
Surgery consultation −.064 .263 −.047
Surgical and medical assistance −.233 .260 −.146

Table 4.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ophthalmic diseases

Dependent variable
: Education importance of ophthalmic diseases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B S.E. Beta
***: p<0.001
*: p<0.05
R2: 0.551
Modified R2: 0.374
Independent
variable
(Constant) .068 1.191
Age .035 .038 .309
Gender (male=1, female=0) −.512 .196 −.354*
Education level .191 .160 .145
Period of experience −.037 .035 −.280
Working area (metropolitan city=1, remainder=0) .053 .210 .033
Workplace (clinic=1, remainder=0) −.374 .224 −.241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054 .186 .041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111 .141 .105
Weekend work (yes=1, no=0) −.077 .215 -.050
Salary .090 .229 .097
Marriage (unmarried=1, married=0) .046 .312 .025
Work experience in optical shop (yes=1, no=0) −.043 .162 −.031
Major job Refraction test −.312 .284 −.139
Contact lens .324 .268 .237
Eye examination by using ophthalmic equipment 2.938 .760 .517***
Patient explanation and education on test results .092 .224 .067
Surgical equipment check −.347 .281 −.205
Surgery consultation .066 .226 .048
Surgical and medical assistance .286 .223 .177

Table 5.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test of refraction and visual function

Dependent variable
: Education importance of test of Refraction and visual function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B S.E. Beta
**: p<0.01
*: p<0.05
R2: 0.616
Modified R2: 0.464
Independent
variable
(Constant) −.890 1.211
Age .095 .038 .759*
Gender (male=1, female=0) −.289 .200 −.182
Education level .020 .162 .014
Period of experience −.108 .035 −.735
Working area (metropolitan city=1, remainder=0) −.079 .213 −.046
Workplace (clinic=1, remainder=0) −.365 .228 −.214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335 .189 −.230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321 .144 .276*
Weekend work (yes=1, no=0) .074 .218 .044
Salary .160 .233 .156
Marriage (unmarried=1, married=0) .676 .317 .331*
Work experience in optical shop (yes=1, no=0) −.149 .165 −.095
Major job Refraction test −.046 .289 −.018
Contact lens .791 .272 .526**
Eye examination by using ophthalmic equipment 2.372 .773 .380**
Patient explanation and education on test results .008 .228 .005
Surgical equipment check −.212 .286 −.114
Surgery consultation .028 .230 .018
Surgical and medical assistance .123 .227 .069

Table 6.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medical coordinator

Dependent variable
: Education importance of medical coordinator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B S.E. Beta
**: p<0.01
*: p<0.05
R2: 0.330
Modified R2: 0.064
Independent
variable
(Constant) −.142 1.669
Age .147 .053 0.728**
Gender (male=1, female=0) .235 .275 .142
Education level −.063 .224 −.042
Period of experience −.083 .049 −.540
Working area (metropolitan city=1, remainder=0) −.276 .294 −.153
Workplace (clinic=1, remainder=0) −.018 .314 −.010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241 .261 −.159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020 .198 −.016
Weekend work (yes=1, no=0) .189 .301 .108
Salary −.681 .322 −.640
Marriage (unmarried=1, married=0) −.240 .437 −.113
Work experience in optical shop (yes=1, no=0) −.330 .228 −.203
Major job Refraction test .400 .398 .155
Contact lens −.173 .375 −.110
Eye examination by using ophthalmic equipment 1.440 1.066 .221
Patient explanation and education on test results .005 .314 .003
Surgical equipment check −.385 .394 −.198
Surgery consultation −.218 .316 −.137
Surgical and medical assistance .631 .312 .341*

Table 7.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technique handling ophthalmic examination equipment

Dependent variable
: Education importance of technique handling ophthalmic examination equipment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B S.E. Beta
**: p<0.01
R2: 0.503
Modified R2: 0.307
Independent
variable
(Constant) .718 1.536
Age −.013 .049 −.097
Gender (male=1, female=0) .210 .253 .119
Education level .044 .206 .027
Period of experience −.055 .045 −.333
Working area (metropolitan city=1, remainder=0) −.196 .270 −.101
Workplace (clinic=1, remainder=0) .371 .289 .196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002 .240 .002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298 .182 .230
Weekend work (yes=1, no=0) −.840 .277 −.450
Salary .216 .296 .189
Marriage (unmarried=1, married=0) −.020 .402 −.009
Work experience in optical shop (yes=1, no=0) .040 .209 .023
Major job Refraction test .099 .366 .036
Contact lens .406 .345 .242
Eye examination by using ophthalmic equipment 2.839 .980 .408**
Patient explanation and education on test results −.087 .289 −.052
Surgical equipment check .356 .363 .172
Surgery consultation −.029 .291 −.017
Surgical and medical assistance −.214 .287 −.108

Table 8.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ophthalmic surgery

Dependent variable
: Education importance of ophthalmic surgery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B S.E. Beta
**: p<0.01
R2: 0.503
Modified R2: 0.307
Independent
variable
(Constant) −.109 1.416
Age .008 .045 .069
Gender (male=1, female=0) −.063 .233 −.042
Education level −.018 .190 −.013
Period of experience −.028 .041 −.199
Working area (metropolitan city=1, remainder=0) −.023 .249 −.014
Workplace (clinic=1, remainder=0) .010 .267 .006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042 .221 .031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400 .168 .362
Weekend work (yes=1, no=0) −.401 .255 −.252
Salary .155 .273 .159
Marriage (unmarried=1, married=0) .302 .371 .155
Work experience in optical shop (yes=1, no=0) −.012 .193 −.008
Major job Refraction test −.181 .337 −.077
Contact lens .246 .318 .172
Eye examination by using ophthalmic equipment 1.960 .904 .330*
Patient explanation and education on test results −.140 .267 −.097
Surgical equipment check .081 .334 .046
Surgery consultation .386 .268 .267
Surgical and medical assistance .332 .265 .197

Table 9.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importance of nurse assistance

Dependent variable
: Eucation importance of nurse assistance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B S.E. Beta
**: p<0.01
R2: 0.340
Modified R2: 0.079
Independent
variable
(Constant) −.961 1.794
Age .120 .057 .846*
Gender (male=1, female=0) .041 .296 .023
Education level −.145 .241 −.089
Period of experience −.038 .052 −.228
Working area (metropolitan city=1, remainder=0) −.387 .316 −.197
Workplace(clinic=1, remainder=0) .289 .338 .150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120 .280 .073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271 .213 −.206
Weekend work (yes=1, no=0) −.046 .324 −.024
Salary −.444 .346 −.385
Marriage (unmarried=1, married=0) −.415 .470 −.180
Work experience in optical shop (yes=1, no=0) −.245 .245 −.139
Major job Refraction test −.280 .428 −.100
Contact lens −.570 .403 −.335
Eye examination by using ophthalmic equipment 3.030 1.146 .429*
Patient explanation and education on test results .027 .338 .016
Surgical equipment check −.576 .424 −.274
Surgery consultation .158 .340 .092
Surgical and medical assistance .623 .336 .311*

Table 10.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necessity of medical terminology

Dependent variable
: Education necessity of medical terminology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B S.E. Beta
*: p<0.05
R2: 0.362
Modified R2: 0.110
Independent
variable
(Constant) 3.391 1.308
Age .049 .041 .469
Gender (male=1, female=0) −.087 .216 −.065
Education level .099 .175 .082
Period of experience −.104 .038 −.844
Working area (metropolitan city=1, remainder=0) −.006 .230 −.004
Workplace (clinic=1, remainder=0) .201 .246 .141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137 .204 .113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036 .155 −.037
Weekend work (yes=1, no=0) −.143 .236 −.102
Salary .194 .252 .227
Marriage (unmarried=1, married=0) −.012 .342 −.007
Work experience in optical shop (yes=1, no=0) .316 .178 .2426*
Major job Refraction test .003 .312 .002
Contact lens .447 .294 .355
Eye examination by using ophthalmic equipment −1.163 .835 −.222
Patient explanation and education on test results −.133 .246 −.106
Surgical equipment check −.438 .309 −.281
Surgery consultation .236 .248 .185
Surgical and medical assistance −.532 .245 −.358

Table 11.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necessity of ophthalmic diseases

Dependent variable
: Education necessity of ophthalmic diseases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B S.E. Beta
***: p<0.001
*: p<0.05
R2: 0.457
Modified R2: 0.243
Independent
variable
(Constant) 4.611 1.143
Age .040 .036 .402
Gender (male=1, female=0) −.310 .189 −.246
Education level .112 .153 .098
Period of experience −.088 .033 −.755
Working area (metropolitan city=1, remainder=0) .215 .201 .156
Workplace (clinic=1, remainder=0) −.189 .215 −.140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203 .179 −.176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257 .136 .279*
Weekend work (yes=1, no=0) −.304 .206 −.228
Salary .046 .220 .056
Marriage (unmarried=1, married=0) −.259 .299 −.160
Work experience in optical shop (yes=1, no=0) .113 .156 .091
Major job Refraction test .046 .272 .024
Contact lens .443 .257 .371*
Eye examination by using ophthalmic equipment −1.239 .730 -.250
Patient explanation and education on test results .032 .215 .027
Surgical equipment check −.671 .270 -.455*
Surgery consultation .126 .217 .105
Surgical and medical assistance .154 .214 .110

Table 12.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necessity of test of refraction and visual function

Dependent variable
: Education necessity of test of refraction and visual function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B S.E. Beta
**: p<0.01
*: p<0.05
R2: 0.343
Modified R2: 0.083
Independent
variable
(Constant) 6.043 1.222
Age .007 .039 .074
Gender (male=1, female=0) .000 .201 .000
Education level .115 .164 .103
Period of experience −.066 .036 −.577
Working area (metropolitan city=1, remainder=0) −.183 .215 −.137
Workplace (clinic=1, remainder=0) −.447 .230 −.340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368 .191 −.328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278 .145 .310
Weekend work (yes=1, no=0) −.008 .220 −.007
Salary .154 .235 .196
Marriage (unmarried=1, married=0) −.322 .320 −.204
Work experience in optical shop (yes=1, no=0) .033 .167 .027
Major job Refraction test .165 .291 .087
Contact lens .806 .275 .695**
Eye examination by using ophthalmic equipment −1.330 .780 −.276
Patient explanation and education on test results −.125 .230 −.108
Surgical equipment check −.564 .289 −.393*
Surgery consultation −.135 .232 −.115
Surgical and medical assistance .164 .229 .120

Table 13.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 work experience of optical shop and major job in workplace and education necessity of medical coordinator

Dependent variable
: Education necessity of medical coordinator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B S.E. Beta
**: p<0.01
*: p<0.05
R2: 0.343
Modified R2: 0.083
Independent
variable
(Constant) 1.643 1.700
Age .167 .054 1.244**
Gender (male=1, female=0) .038 .280 .022
Education level −.282 .228 −.182
Period of experience −.123 .050 −.777
Working area (metropolitan city=1, remainder=0) −.519 .300 −.279
Workplace (clinic=1, remainder=0) −.057 .320 −.031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135 .266 −.086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068 .202 .055
Weekend work (yes=1, no=0) .178 .307 .099
Salary −.132 .328 −.120
Marriage (unmarried=1, married=0) .386 .445 .176
Work experience in optical shop (yes=1, no=0) −.287 .232 −.172
Major job Refraction test −.060 .405 −.023
Contact lens .089 .382 .055
Eye examination by using ophthalmic equipment −2.101 1.086 −.313*
Patient explanation and education on test results .153 .320 .095
Surgical equipment check −.589 .402 −.295
Surgery consultation −.245 .322 −.150
Surgical and medical assistance .286 .318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