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Article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Vol. 23, No. 4, pp.277-281
ISSN: 1226-5012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31 Jul 2018 Revised 20 Aug 2018 Accepted 28 Aug 2018
DOI: https://doi.org/10.14479/jkoos.2018.23.4.277

안경광학과 학생의 전공과목 만족도에 따른 안경사 직업 가치 인식의 연구

김영미 ; 장대광 ; 정예린 ; 이주학 ; 하병호 ; 김기홍*
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경북 38430
Study on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according to Satisfaction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Major Subject
Young Mi Kim ; Dae Kwang Jang ; Yee Rin Jung ; Ju Hak Lee ; Byung Ho Ha ; Ki Hong Kim*
Dep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buk 38430, Korea

Correspondence to: *Ki Hong Kim, TEL: +82-53-850-2551, E-mail: kkh2337@cu.ac.kr


초록

목적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전공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안경사라는 직업 가치인식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18년 5월 한달 동안 대구와 부산지역의 안경광학과 3, 4년제 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으로는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는 문항, 안경광학과 진학동기, 전공과목 만족도와 안경사 직업의 가치인식도, 안경사 직업의 사회적 가치 인식 등에 관한 문항이 있었다. 통계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분석을 하였다.

결과

총 155명 중 현재 배우고 있는 전공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만족 21명(13.5)%, 만족 75명(48.4%), 보통 51명(32.9%), 불만족 4명(2.6%), 매우 불만족 4명(2.6%)으로 나타났다. 본인이 생각하는 안경사라는 직업의 가치인식수준은 매우 높다가 9명(5.8%), 높다 46명(29.7)%, 보통 85명(54.8%), 낮다 12명(7.7%), 매우 낮다 3명(1.9%)으로 나타났다. 전공과목 만족도에 따른 학생들이 생각하는 안경사 직업가치인식을 상관 분석한 결과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전공과목 만족도와 안경사 직업가치인식 수준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 = .459, p<.001).

결론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전공과목 만족도가 높은 것과 안경사 가치인식 수준이 높은 것은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다. 안경사 직업가치인식을 높이기 위해서 전공과목 만족도를 높이고, 더불어 안경사의 근무 환경과 복지의 개선을 통한 사회적인 인식변화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hthalmic optics students's major subject satisfaction and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55 students from the Daegu and Busan area of ophthalmic optics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during May 2018.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ivation to enter the university, satisfaction with major subjects,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and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in society. Statistical analysis used SPSS 22.0 program to correlate, frequency analysis.

Results

Of the total 155 students, the satisfaction rate of major subjects was very satisfied 21(13.5%), Satisfied 75 (48.4%), usually 51 (32.9%), dissatisfied 4 (2.6%) and very unsatisfied 4 (2.6%).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was very high 9 (5.8%), high 46 (29.7%), usually 85 (54.8%), low 12 (7.7%), very low 3 (1.9%).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according to satisfaction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major subj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major subject and the level of perceived value of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r = .459, p<.001)

Conclusions

It is highly related to the high major subject satisfaction of ophalmic optics students and the high level of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major subject in order to increase the perception of job value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ocial consciousness through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of optician.

Keywords:

Optician, Optometrist, Ophthalmic optics students, Occupational value perception, Major subject satisfaction,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키워드:

안경사, 안경광학과 학생, 직업가치인식, 전공과목 만족도, 안경사 직업 인식

서 론

국내의 대학구조는 학과나 전공 영역별로 구성되며, 전공은 장래의 진로와 대부분 직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1] 또한 전공 선택이 개인의 대학생활 뿐 아니라 졸업 후 직업을 선택하고 장래의 삶을 살아가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2]

Kim과 Ha는 전공이 가지는 사회적 소속감을 포함하여 “학과(학부)”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학과만족에 대해,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대와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학과를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이라고 하였다.[2,3] 이렇게 볼 때 학생들은 전공과목을 공부할 때 앞으로 선택할 진로와 직업에 얼마나 관련되고, 도움이 되는지, 현장 업무에서 사용 가능한 학문인지에 대해 비교하여 판단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공과목의 만족도는 본인이 설정한 진로와 직업에 있어 전공과목이 얼마만큼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의료기사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안경사는 시력보정용 안경의 조제 판매와 콘택트렌즈의 판매업무에 종사하며, 도수를 조정하기 위한 시력검사를 할 수 있는 전문가이다.[4] 안경사 양성교육은 1977년 안경통신교육을 시작으로 1982년에는 한국안경고등기술학교가 담당하였다. 그 이후 1984년 대구보건대학에 안경광학과가 최초 개설되었으며,[5] 1988년 안경사 면허제도가 도입되었다.[6]

대한 안경사 협회에서 공지된 2018년 전국의 안경광학과의 수는 총42개이며 그중 4년제는 12개, 3년제는 26개, 2년제는 4개의 대학이 있으며 이러한 대학은 안보건을 책임지는 예비 안경사를 배출하기 위해 전공 관련 다양하고 깊이 있는 전문교육을 하고 있다. 또한 한국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 통계에 의하면 2008년~2017년까지 매년 평균 1,496명이 국민 안보건향상에 이바지할 전문인으로서 배출되고 있다.[7] 하지만 안경사 시험 초기에 편성된 시험과목의 종류와 과목의 내용을 현실에 맞게 바꾸어야 한다는 연구도 있으며[8] 안경사 면허 합격을 목적에 둔 최단기 양성 코스로 교육수준의 질적 불균형을 지적한 연구도 있다.[9,10]

학생들이 직업과 진로를 결정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흥미, 적성, 가치, 능력 등이 있다. 이중에서 직업의 가치는 일에 대한 책임감과 사명감, 일의 적응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주 중요한 요인이다.[11]

본 연구는 미래에 국민의 안보건을 책임질 전문가로 성장해 나갈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전공 관련 견해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학생들이 생각하는 안경사라는 직업 가치인식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8년 5월 한 달 동안 대구와 부산지역의 안경광학과 3, 4년제 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으로는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는 문항, 안경광학과 진학동기, 전공과목 만족도와 안경사 직업의 가치인식도, 안경사 직업의 사회적 가치인식등에 관한 문항이 있었다. 통계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분석을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인구 사회학적 특성

설문 참여자 수는 총 155명이며, 3년제 안경광학과 학생 107명(69%), 4년제 안경광학과 학생 48명(31%)이며, 남성이 85명(54.8%), 여성이 70명(45.2%), 그 중 20대는 141명(91%), 30대 9명(5.8%), 40대 5명(3.2%)으로 분포하였다. 학년별로는 1학년 38명(24.5%), 2학년 60명(38.7%), 3학년 44명(28.4%), 4학년 13명(8.4%)이며, 미혼은 145명(93.5%), 기혼은 10명(6.5%)으로 나타났다(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2. 안경광학과 선택 경위 및 진학 목적

안경광학과를 선택한 경위는 부모님과 지인의 권유가 64명(41.3%)으로 가장 높았으며, 스스로의 선택이 46명(29.7%), 성적에 맞춰 진학하는 경우가 22명(14.2%), 취업 걱정이 덜한 전문직이라서 선택한 경우는 18명(11.6%), 기타 5명(3.2%)으로 나타났다(Table 2). 부모님과 지인의 권유로 안경광학과에 진학한 경우가 41.3%로 가장 많았다. 이는 국내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은 정적상관이 있었으며[12~15]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가족과 중요한 타자와의 결속, 자신을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의 격려와 충고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다수의 연구가 뒷받침된 결과로 보여 진다.[16~19] 또한 스스로의 전공 선택이 29.7%였고, 성적에 맞춰 진학한 경우가 14.2%, 전문직이라서 선택한 경우가 11.6%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Lee는 본인의지에 의한 자발적 전공 선택과 타인의존에 의한 의존적 전공 선택으로 나누었다. 전공선택 동기와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개인적 전공선택 동기자가 사회적 전공선택 동기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 이를 참고하였을 때 29.7%의 비율이 스스로 전공을 선택한 것이 긍정적인 의미로 보여 진다.

Reason of major selection

입학 시 고려한 직업으로는 안경사 83명(53.5%), 검안사 30명(19.4%), 콘택트렌즈 관련회사 취업 20명(12.9%), 안경관련회사 취업이 14명(9%), 타 직업이 5명(3.3%), 기타가 3명(1.9%)으로 나타났다(Table 3).

Occupation Considered at Admission

3. 전공과목 만족도와 안경사 가치인식도

총 155명 중 현재 배우고 있는 전공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만족 21명(13.5%), 만족 75명(48.4%), 보통 51명(32.9%), 불만족 4명(2.6%), 매우 불만족 4명(2.6%)으로 나타났다(Fig. 1). 만족이 48.4%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보통 32.9%, 매우 만족이 13.5%순으로 나타났다.

Fig. 1.

Major subject satisfaction.

본인이 생각하는 안경사라는 직업의 가치인식수준은 매우 높다가 9명(5.8%), 높다 46명(29.7)%, 보통 85명(54.8%), 낮다 12명(7.7%), 매우 낮다 3명(1.9%)으로 나타났다(Fig. 2). 본인이 생각하는 안경사의 직업 가치인식은 보통과 높다에 많은 수가 선택을 하였다. 반면 본인이 생각하기에 사회적으로 바라보는 안경사에 대한 가치인식이 어떠한 것 같은지의 질문에 매우 높다 7명(4.5%), 높다 22명(14.2%), 보통 87명(56.1%), 낮다 35명(22.6%), 매우 낮다 4명(2.6%)으로 보통과 낮다에 많은 수가 선택하였다(Fig. 3).

Fig. 2.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Fig. 3.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in society.

전공과목 만족도에 따른 학생들이 생각하는 안경사 직업가치인식을 상관 분석한 결과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전공과목 만족도와 안경사 직업가치인식 수준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r = .459, p<.001). 전공과목 만족도가 높은 것과 안경사 가치인식수준이 높은 것은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다.

Correlation between Major Subject Satisfaction and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4. 면허 취득 후 진로 및 취업 시 중요하게 고려되는 사항

안경광학과 학생 155명 중 졸업 후 안경사 관련 업종에서 일할 것이라고 응답한 수는 138명(89%)에 해당하며, 10명(6.5%)은 다른 일을 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기타 7명(4.5%)은 아직 결정을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Table 5).

Select a career related to a major

졸업 후 취업하고 싶은 곳은 안경원 84명(54.2%), 안과 31명(20%), 콘택트렌즈 관련회사 16명(10.3%), 안경 관련회사 11명(7.1%), 타 직업 6명(3.9%), 대학원 진학 4명(2.6%), 기타 3명(1.9%)으로 나타났다(Table 6).

Place to want to work after graduation

취업 시 중요하게 고려되는 사항은 월급 55명(35.5%), 근무환경 54명(34.8%), 근무시간 29명(18.7%), 동료 구성원 9명(5.8%), 근무지 위치와 사회적인식이 각각 4명(2.6%)순으로 나타났다(Table 7).

Important points when choosing a job


결 론

학생들이 안경광학과에 진학하는 이유로 가족과 지인의 권유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스스로의 선택이 그 뒤를 따랐다. 또한 전공과목 만족도가 높은 것과 안경사 가치인식수준이 높은 것은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직업관련 깊이 있고, 전문적인 교육을 받으며 만족감이 높아질 때 안경사라는 직업의 가치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여 진다. 다만 사회적으로 안경사라는 직업을 바라보는 가치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볼 때 안경사의 근무 환경과 복지의 개선을 통한 사회적인 인식변화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졸업 후 전공 관련된 일을 할 것이라고 89%가 대답하였으며, 54.2%가 안경원 근무를 원했으며, 20%는 안과에 취업하기를 원했다. 취업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월급, 근무 환경, 근무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급변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매년 전국의 안경광학과에는 미래의 안경 산업을 이끌고 책임질 신입생이 입학하고, 안경사로 배출되고 있다. 학교 일선에서는 전공과목의 체계적인 틀을 유지하면서도, 변화되고 있는 안경 산업에 맞춘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며, 더불어 안경사라는 직업이 사회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학생들에게 그 가치를 알리고, 사명감을 가지고 사회에 진출 할 수 있도록 직업관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도 전문적인 교육을 받으며 배출된 안경사들이 존중받고, 자긍심을 가지고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과 사회의 변화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고 알아보려는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References

  • Jeong, BY, The effects of motivation for major choice of university students on vocation choice factors,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2010), p6-7.
  • Yun, JY, A study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2014), 23(2), p111-132.
  • Kim, KH, Ha, HS,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Fact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00), 1(1), p7-20.
  • Bae, YJ, Kim, JB, Kim, KH, Han, SG, A study on optician`s job satisfaction and price reliability in accordance with place of purchase, Korean J Vis Sci., (2016), 18(4), p489-496. [https://doi.org/10.17337/jmbi.2016.18.4.489]
  • Lee, OJ, Shin, JA, Jung, SH,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in ophthalmic optic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0), 15(4), p319-328.
  • Lee, WS, Ye, KH, A study on the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optical stores and optometrists in Korea,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7), 22(4), p279-290. [https://doi.org/10.14479/jkoos.2017.22.4.279]
  •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Passing rate of national examination by year, (2018), http://www.kuksiwon.or.kr/Publicity/ExamStatistic.aspx?SiteGnb=5&SiteLnb=2(31 August 2018).
  • Sung, PJ, Jon, KC, A study on subjects for the Angyoungsa license examination managed by Guksiwon, reforming the curriculum and syllubus of the optometry and opticianary in Korea, Korean J Vis Sci., (1999), 1(1), p45-65.
  • Mah, KC, Lee, HJ, Lee, JH, Lee, HJ, The projection of the demand and supply for opticianry manpower, Korean J Vis Sci., (2001), 3(1), p25-40.
  • Lee, OJ, Park, HK, Study on the usefulness of the classification in ophthalmic optics` curriculum for students and optometrist-focusing on three-year educational system in Gyeonggi provinc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 18(4), p413-428. [https://doi.org/10.14479/jkoos.2013.18.4.413]
  • Seon, HY, Hwang, MH, Kim, YB, The change of adolescents' value pursuing in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09), 10(1), p155-173.
  • Go, TY,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PhD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2008), p5-23.
  • Park, JE,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2006), p18-23.
  • Cho, MS, The influence of ego-identity,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late adolescence, PhD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07), p56-70.
  • Song, JY,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y college students, MA Thesis, Yeungnam University, Kyongsan, (2003), p31-43.
  • Tolbert, EL,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2n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980).
  • Han, SH,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in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s, MA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2003), p5-44.
  • Kracke, B, Parental behaviors and adolescents’ career exploration, Career Dev Q, (1997), 45(4), p341-350.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0538.x]
  • Kang, R, Lee, M,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career attitude, occupation value,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Korean J Hum Ecol., (2011), 20(5), p941-953. [https://doi.org/10.5934/kjhe.2011.20.5.941]
  • Lee, J, A study on job selection reasons and choice motives of major for college students in culinary and food service in Busan,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011), 19(2), p69-85.

Fig. 1.

Fig. 1.
Major subject satisfaction.

Fig. 2.

Fig. 2.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Fig. 3.

Fig. 3.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in society.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Characteristic Categories Frequency(%)
Gender Male   85(54.8%)
Female   70(45.2%)
Age 20’s    141(91%)
30’s       9(5.8%)
40’s       5(3.2%)
Grade 1st   38(24.5%)
2nd   60(38.7%)
3nd   44(28.4%)
4nd     13(8.4%)
Education level College    107(69%)
University      48(31%)
Marital status Unmarried 145(93.5%)
Married      10(6.5%)

Table 2.

Reason of major selection

Frequency Percent(%)
Suggestion of parents and acquaintances 64 41.3%
Choice of oneself 46 29.7%
Go to school according to grade 22 14.2%
Professional occupation 18 11.6%
Etc   5    3.2%
Total 155    100%

Table 3.

Occupation Considered at Admission

Frequency Percent(%)
Optician 83   53.5%
Optometrist 30   19.4%
Contact lens company 20   12.9%
Glasses related company 14     9.0%
Other job   5     3.3%
Etc   3     1.9%
Total 155     100%

Table 4.

Correlation between Major Subject Satisfaction and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Major Subject
Satisfaction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Major Subject Satisfac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1          .459**
Significance level (both) .000    
N 155     155   
Optician's Job Value Percep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459** 1       
Significance level (both) .000    
N 155    155   

Table 5.

Select a career related to a major

Frequency Percent (%)
Major related jobs 138   89%
Other job   10  6.5%
Etc     7  4.5%
Total 155 100%

Table 6.

Place to want to work after graduation

Frequency Percent (%)
Optical Shop  84 54.2%
Ophthalmic clinic  31    20%
Contact lens company  16   10.3%
Glasses related company  11     7.1%
Other job    6      3.9%
Graduate school entrance    4      2.6%
Etc    3      1.9%
Total 155      100%

Table 7.

Important points when choosing a job

Frequency Percent (%)
Salary  55 35.5%
Working environment  54 34.8%
Working hours  29 18.7%
Colleague    9   5.8%
Location    4   2.6%
Social recognition    4   2.6%
Total 155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