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Article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Vol. 25, No. 1, pp.65-81
ISSN: 1226-5012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0
Received 03 Dec 2019 Revised 26 Dec 2019 Accepted 05 Jan 2020
DOI: https://doi.org/10.14479/jkoos.2020.25.1.65

안경광학과 재학생 자치활동만족도에 따른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 연구

곽성필1 ; 조승주1 ; 박진아1 ; 김세미1 ; 최문성2, *
1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학생, 서울 01811
2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서울 01811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Universit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y according to the Autonomous Activities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National optometry
Seongpil Kwak1 ; Seungjoo Jo1 ; Jina Park1 ; Semi Kim1 ; Moonsung Choi2, *
1Dep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ent, Seoul 01811, Korea
2Dep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or, Seoul 01811, Korea

Correspondence to: *Moonsung Choi, TEL: +82-2-970-6234, E-mail: mschoi@seoultech.ac.kr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재학생 자치활동만족도에 따른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방법

대학생의 자치활동만족도에 따른 대학생활만족도와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사항을 포함하여 자치활동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자치활동 경험이 있고, 자치활동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가 높고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의 점수가 높았다. 자치활동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과의 상관성 결과, 모든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자치활동만족도가 높을수록 모든 척도와의 상관관계는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자치활동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자치활동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차후에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자아개념들을 위한 기초자료로의 의의를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with satisfaction in universit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in the major, self-esteem,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y.

Methods

We asked participants 6 general questions, 24 questions regarding autonomous activities, 14 questions regarding universit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18 questions regarding satisfaction to majors, 10 questions regarding self-esteem, 28 questions regarding self-efficiency, and 14 questions regarding self-resiliency. Autonomous activities largely included student council and club activities, and in order to reflect diverse opinion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gender, age, school year, region, school year system, student association membership, and club membership.

Results

The experience of autonomous activities an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them correlated with high degree of satisfaction in university and college life and the major and good scores of self-efficiency, self-respect, and self-elasticit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High levels of satisfaction in university and college life and the major as well as good self-esteem,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y contribute to a rich college life of students of optometry, and when they become members of society, they are more adept in their lives and at expanding their individual abilities.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encourage students of optometry to actively participate in autonomous activities and the Department of Optometry to establish various autonomous activities and provide an environment fo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Keywords:

Optometry, Satisfaction of autonomous activities, Satisfaction of universit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to majors, Self-efficacy

키워드:

안경광학과, 자치활동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개념

서 론

고등교육법 제28조에 따르면, 대학은 인격을 도야(陶冶)하고 국가와 인류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심오한 학술이론과 그 응용방법을 가르치고 연구하며, 국가와 인류사회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이다.[1] 대학교육을 통한 생활은 기초 및 교양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환경 변화를 접하게 되면서 다양한 규범 속에서 타인과 상호작용 하며 사회적 관계를 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현재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졸업생 절반 이상(69.7%)이 대학에 진학하고 있으며,[2] 대학에 입학하여 학생 자신의 고유한 개인적인 특성과 생활 환경의 조화 및 적응하는 대학 생활을 익히게 된다. 대학생활의 학습은 교양 및 전공 분야에서의 지식 범위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인지적 영역과 가치관, 자아개념, 태도, 신념 등을 포함하고 있는 비인지적 영역으로 나뉜다. 이때 인지적 영역에서 충족되지 못하는 개인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비인지적인 영역을 자치활동을 통해 잠재되어있는 적성과 자질을 개발할 수 있다.[3]

자치활동은 학생을 주체로 자주적인 학교생활을 조직, 운영할 수 있는 학생회 및 다양한 동아리 활동 등을 말하며 자율 적으로 참여하고 운영해 나가는 활동을 말한다.[4-6] 자치활동은 대학생활의 인지적 영역과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학생들의 대학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하며, 인지적 영역 활동의 제한적인 부분을 자치활동을 통하여 한층 더 심화하고 확대하여 균형 잡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자치활동의 경험은 지식 범위 내용을 배우는 교양 및 전공공부와 통합되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력과 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심리사회적 발달을 돕는다.[7] 대학생활만족도는 자치활동과 같은 비인지적인 영역과 교과과정을 학습하는 인지적인 영역 모두를 아우르는 범위이자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고, 어떠한 활동을 할 때 높은 성취도와 내재동기를 나타내기 때문에 대학생의 삶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8] 전공만족도는 개인이 계획한 진로 및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자신이 소속한 학과에 대해 판단하는 평가기준이다.[9] 또한 심리사회학적 발달 단계는 자아 발달에 있어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자아존중감[8,10]은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바람직하게 여기며 본인의 가치에 대해 스스로 인정하는 주관적인 평가이며, 자기효능감[11-12]은 자신에게 주어진 과업을 성공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 및 자신이 원하는 과제, 행동을 잘 수행할 수 있다는 스스로의 신념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자아탄력성[13-14]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직면하였을 때의 긴장 인내수준, 충동통제를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조절 능력, 대처방법, 회복력을 판단할 수 있는 등과 같은 척도가 있다. 이러한 척도들은 다양한 환경 속에서 사회 구성원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되고 발달되며, 경험적 자아에 관계되는 모든 것에 대한 지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학생활에 의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재학생 자치활동만족도에 따른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을 전국 12개 대학교의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설문을 통해 상관관계를 연구를 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통해 자치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전공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과 같은 척도를 통하여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만족도와 자아개념의 상관관계를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전국 12개 대학교의 안경광학과 재학생 551명을 대상으로 자치활동만족도에 따른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를 위한 설문을 하였다. 설문 조사는 사전 동의를 받고 진행하였으며 지역별, 학년제별로 균등하게 구성하여 경남지역 K대학교, 강원지역 K대학교, 대전지역 K대학교, 강원지역 K대학교, 경북지역 K대학교, 충북지역 K대학교, 광주지역 D대학교, 전남지역 D대학교, 경남지역 M대학교, 서울지역 S대학교, 충남지역 S대학교, 경기지역 E대학교에서 실시하였다. 총 551명으로 전체 설문지의 475부를 회수하였고, 중복체크·설문기록 누락 등 불성실한 답변과 부정확한 답변을 제외한 68.4%에 해당하는 377부를 통계에 사용하였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치활동만족도에 따른 대학생활만족도와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사항 6문항 포함하여 자치활동만족도[15], 대학생활만족도[16], 전공만족도[9] , 자아존중감[17], 자기효능감[18], 자아탄력성[19]으로 구성하였다. 자치활동은 크게 학생회활동과 동아리활동으로 분류하였으며 성별, 나이, 학년, 지역, 학년제, 학생회 가입여부, 동아리 가입여부로 배경 변인을 분류하였다.

3. 통계 분석

배경 변인별 응답빈도 및 비율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배경 변인별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평균비교분석을, 자치활동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치활동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 SPSS(SPSS v22.0, IBM,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배경 변인 별 응답빈도 및 비율 분석

Table 1은 배경 변인 성별, 나이, 학년, 학년제 대학교, 지역별로 분류 후 설문지 응답 빈도 및 비율을 빈도분석을 실시한 표이다. 성별 응답은 남학생 197명(52.25%), 여학생 180명(47.75%)으로 남학생이 조금 많았다. 나이별 응답은 20세 이상 25세 미만 329명(87.26%), 25세 이상 30세 미만 40명(10.61%), 30세 이상 35세 미만 5명(1.33%), 35세 이상 40세 미만 2명(0.53%), 40세 이상 45세 미만 1명(0.27%)으로 20세 이상 25세 미만의 범위에서 가장 큰 비율을 보인다. 35세 이상 40세 미만, 40세 이상 45세 미만은 적은 표본 수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학년별 응답은 1학년 163명(43.24%), 2학년 126명(33.42%), 3학년 88명(23.34%), 4학년 0명(0%)으로 1학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인다. 학년제별 응답은 3년제 84명(22.28%), 4년제 293명(77.72%)으로 4년제 대학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인다. 지역별 응답은 서울 42명(11.14%), 광주 37명(9.81%), 대전 31명(8.22%), 경기 34명(9.02%), 강원 75명(19.89%), 충북 19명(5.04%), 충남 23명(6.1%), 전남 29명(7.69%), 경북 35명(9.28%), 경남 52명(13.79%)으로 강원지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그 외 세부적으로 서울 남학생 22명(5.84%), 여학생 20명(5.31%), 광주 남학생 22명(5.84), 여학생 15명(3.98%), 대전 남학생 10명(2.65%), 여학생 21명(5.57%), 경기 남학생 15명(3.98%), 여학생 19명(5.04%), 강원 남학생 46명(12.20%), 여학생 29명(7.69%), 충북 남학생 12명(3.18%), 여학생 7명(1.86%), 충남 남학생 7명(1.86%), 여학생 16명(4.24%), 전남 남학생 13명(3.45%), 여학생 16명(4.24%), 경북 남학생 23명(6.10%), 여학생 12명(3.18%), 경남 남학생 27명(7.16%), 여학생 25명(6.63%)의 분포를 보였다.

Response frequency and percentage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

2. 대학생활만족도에 대한 변인별 평균비교 분석

Table 2는 변인별에 따른 대학생활만족도의 평균비교 분석을 나타낸 표이다. 대학생활만족도에 대한 변인별 평균 비교 결과, 모든 응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만족도 평균은 남성 47.75, 여성 45.97로 남성의 대학생활만족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나이에 따른 평균은 20세 이상 25세 미만 46.54, 25세 이상 30세 미만 48.8, 30세 이상 35세 미만 48.4, 35세 이상 40세 미만 56.5, 40세 이상 45세 미만 62로 나이가 많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학년별 평균은 1학년 46.31, 2학년 46.4, 3학년 48.69로 학년이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학년제별 평균은 3년제 대학교에서 45.43, 4년제 대학교에서 47.32로 4년제 대학교에서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별에 따른 평균은 서울 49.86, 광주 45.89, 대전 47.45, 경기 49.24, 강원 47.35, 충북 45.63, 충남 46.52, 전남 45.97, 경북 45.80, 경남 44.62로 서울지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학생회 가입 여부에 따른 평균은 가입 49.32, 비가입 46.53, 동아리 가입 여부에 따른 평균은 가입 48.05, 비가입 46.23으로 학생회 또는 동아리에 가입하였을 때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았다. 학생회를 포함한 동아리 가입 여부에 따른 평균 점수가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자치활동이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Beyers, Wim과 Luc Gossenes, Kim의 자치활동과 전체 대학생활적응 및 생활만족도를 분석한 선행 연구[20-21]와 유사한 결과로 자치활동이 대학생의 자기조절 관련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학교생활만족도, 궁극적으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역시 예상해볼 수 있다.

Averag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university and college life

3. 전공만족도에 대한 변인별 평균비교 분석

Table 3은 변인별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평균비교 분석을 나타낸 표이다. 전공만족도에 대한 변인별 평균을 비교 분석한 결과 성별, 나이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외 그룹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전공만족도 평균은 남성 63.44, 여성 60.76으로 남성의 전공만족도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나이에 따른 평균은 20세 이상 25세 미만 61.48, 25세 이상 30세 미만 65.97, 30세 이상 35세 미만 66.60, 35세 이상 40세 미만 77.0, 40세 이상 45세 미만 83.0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비교적 높았다. 학년에 따른 평균은 1학년 62.13, 2학년 61.60, 3학년 63.01로 표준 편차를 고려하여 학년이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았다. 학년제에 따른 평균은 3년제 대학교에서 63.01, 4년제 대학교에서 61.92로 3년제 대학교에서 다소 높은 전공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지역에 따른 평균은 서울 63.83, 광주 62.46, 대전 62.97, 경기 62.18, 강원 60.77, 충북 59.16, 충남 64.96, 전남 63.07, 경북 60.91, 경남 62.31로 서울지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다. 학생회 가입여부에 따른 평균은 가입 64.12, 비가입 61.86, 동아리 가입 여부에 따른 평균은 가입 63.09, 비가입 61.62로 학생회 또는 동아리에 가입하였을 때 전공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하지만 학생회를 포함한 자치활동 여부에 따른 전공만족도 평균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학생들이 가입한 자치활동의 성격이 대체로 학과 전공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낮은 활동들이기 때문에 전공만족도에 비교적 커다란 영향을 주지 못 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Averag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major

4. 자아존중감에 대한 변인별 평균비교 분석

Table 4는 변인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평균비교 분석을 나타낸 표이다.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평균은 남성 32.04, 여성 31.82로 남성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나이에 따른 평균은 20세 이상 25세 미만 31.65, 25세 이상 30세 미만 33.80, 30세 이상 35세 미만 34.40, 35세 이상 40세 미만 35.50, 40세 이상 45세 미만 32.00으로 35세 이상 40세 미만에서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별에 따른 평균은 1학년 31.86, 2학년 31.81, 3학년 32.23으로 고학년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제별에 따른 평균은 3년제 대학교에서 31.79, 4년제 대학교에서 31.97로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다. 지역별에 따른 평균은 서울 33.07, 광주 32.51, 대전 32.67, 경기 33.58, 강원 31.20, 충북 30.52, 충남 31.65, 전남 32.58, 경북 30.37, 경남 31.48로 경기지역에서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회 가입 여부에 따른 평균은 가입 32.76, 비가입 31.81, 동아리 가입 여부에 따른 평균은 가입 32.58, 비가입자 31.55로 학생회 또는 동아리에 가입하였을 때 자아존중감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Fleming, James S과 Barbara E. Courtney의 연구에 의하면[22]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사회성 및 학교적 차원이 있다고 분석하였다. 자치활동이 학생들의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사회적 활동인 점을 고려하였을 때 위의 선행연구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치활동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Averag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self-esteem

5. 자기효능감에 대한 변인별 평균비교 분석

Table 5는 변인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평균비교 분석을 나타낸 표이다. 자기효능감에 대한 변인별 평균을 비교 분석한 결과, 모든 응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평균은 남성 88.69, 여성 87.47로 남성의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나이별에 따른 평균은 20세 이상 25세 미만 87.55, 25세 이상 30세 미만 91.87, 30세 이상 35세 미만 90.80, 35세 이상 40세 미만 102.00, 40세 이상 45세 미만 80.00으로 35세 이상 40세 미만에서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다. 학년별에 따른 평균은 1학년 88.33, 2학년 87.75, 3학년 88.21로 비교적 유사한 정도의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학년제별에 따른 평균은 3년제 대학교에서 87.89, 4년제 대학교에서 88.17로 4년제 대학교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지역별에 따른 평균은 서울 89.21, 광주 90.07, 대전 88.16, 경기 91.82, 강원 85.73, 충북 83.63, 충남 89.60, 전남 89.10, 경북 87.85, 경남 86.94로 경기지역에서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회 가입 여부에 따른 평균은 가입 90.06, 비가입 87.81로, 동아리 가입 여부에 따른 평균은 가입 89.08, 비가입 87.54로 학생회 및 동아리에 가입하였을 때 자기효능감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Averag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self-efficacy

6. 자아탄력성에 대한 변인별 평균 비교 분석

Table 6은 변인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평균비교 분석을 나타낸 표이다. 자아탄력성에 대한 변인별 평균을 비교 분석한 결과, 성별, 나이, 지역, 동아리 가입 여부 응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평균은 남성 47.75, 여성 45.63으로 남성의 자아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나이별에 따른 평균은 20세 이상 25세 미만 46.14, 25세 이상 30세 미만 50.10, 30세 이상 35세 미만 44.00, 35세 이상 40세 미만 57.00, 40세 이상 45세 미만 47.00으로 35세 이상 40세 미만에서 자아탄력성이 가장 높았다. 학년별 응답은 1학년 45.79, 2학년 47.14, 3학년 47.30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았다. 학년제별 응답은 3년제 대학교에서 45.54, 4년제 대학교에서 46.90으로 4년제 대학교에서 자아탄력성이 높았다. 지역별에 따른 평균은 서울 50.02, 광주 47.08, 대전 48.74, 경기 50.20, 강원 46.45, 충북 40.84, 충남 45.47, 전남 46.17, 경북 45.11, 경남 43.90으로 경기지역에서 가장 높은 자아탄력성이 나타났다. 학생회 가입 여부에 따른 평균은 가입 49.06, 비가입 46.22으로, 동아리 가입 여부에 따른 평균은 가입 48.05, 비가입 45.75로 학생회 및 동아리에 가입하였을 때 자아탄력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학생회를 포함한 동아리 가입 여부에 따른 평균 점수가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자치활동이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이는 동아리 활동 참여 및 적극성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다는 Jung의 연구[23]와 유사한 결과이다.

Averag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ego-resiliency

7. 자치활동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Table 7은 자치활동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자치활동만족도와 대학생 활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므로 자치활동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비례적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생활 만족도는 대학에 대한 전반적인 호감 및 유대 정도로 학업적 목표에 대한 몰입도를 판단하는 개념으로도 사용된다.[24] 이에 자치활동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의 높은 상관관계는 학생들의 학업적 목표 몰입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university and college life

8. 자치활동만족도와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

Table 8은 자치활동만족도와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자치활동만족도와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므로 자치활동만족도와 전공만족도가 높은 비례적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공만족도는 전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감정, 진로나 직업관련 목표가 어느 정도 충족되었는지를 스스로 평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선행 연구에서는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행동이 명확한 것으로 나타났다.[25] 이에 자치활동만족도와 전공만족도의 높은 상관관계는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학생들의 진로탐색 과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major

9. 자치활동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

Table 9는 자치활동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자치활동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므로 자치활동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높은 비례적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기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인 자아존중감은 개인의 행동에 동기적인 역할을 하며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에서 자치활동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높은 상관관계는 학생들의 진로발달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예측된다.[26]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self-esteem

10. 자치활동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Table 10은 자치활동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자치활동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므로 자치활동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높은 비례적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관심과 신념이 강하며 융통성과 다양성을 발휘하여 높은 과제 수행 능력을 보여 집단에 중심이 되기도 한다.[27-28] 이에 만족스러운 자치활동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높은 과제 수행 능력을 기르고 긍정적인 결과물을 만들 확률이 더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self-efficacy

11. 자치활동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

Table 11은 자치활동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자치활동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므로 자치활동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이 높은 비례적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학생들은 자치 활동을 통해 자율적인 활동 능력, 대인관계에서의 통찰과 온화함, 자기표현 능력의 향상으로 높은 자아탄력성을 함유하게 되고 이는 높은 삶의 의미 수준을 가지게 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측된다.[29-30]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ego-resiliency


결 론

대학생활에서의 자치활동은 많은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대학생활의 인지적 영역으로 충족되지 못하는 영역의 개인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자치활동만족도에 따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학생회, 동아리와 같은 자치활동을 경험하였을 때에 대학생 활만족도와 전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에서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업성취도 및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자아 형성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자치활동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가 높고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점수가 높았다. 자치활동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각각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모든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학생회, 동아리와 같은 자치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과 같은 자아개념에서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학생들의 학업적 목표 몰입도와 진로 탐색 및 발달 과정, 과제 수행 능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생활만족도와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의 경우, 졸업 이후의 삶에 보다 잘 적응하고 높은 성취도와 내재동기를 나타낸다[31-32]. 또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과 같은 자아개념은 개인 스스로의 가치나 능력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로서 곧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결정적인 요인으로서 작용한다.[33-35] 따라서 개인의 사회생활 적응 및 건강한 인격발달과 자아실현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개념이 자치생활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와같은 대학생활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36]

높은 수준의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 그리고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과 같은 자아개념은 안경광학과 재학생이 풍요로운 대학생활을 누리는데 기여하고, 사회의 구성원이 되었을 때, 자신의 삶을 스스로 구성하고 개인의 역량을 펼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에게 적극적인 자치활동의 참여가 권장되며, 다양하고 적극적인 자치활동 참여를 위한 환경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의 일부 내용은 2019 한국안광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포스터로 발표되었음

본 연구는 2019년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학술연구비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Higher Education Act, 2019. http://law.go.kr/%EB%B2%95%EB%A0%B9/%EA%B3%A0%EB%93%B1%EA%B5%90%EC%9C%A1%EB%B2%95/%EC%A0%9C28%EC%A1%B0, (17 September 2019).
  • Statistics Korea. Social Indicator of Korea, 2019.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5/index.board?bmode=read&aSeq=374490&pageNo=&rowNum=10&amSeq=&sTarget=&sTxt=, (17 September 2019).
  • Choi JY, Rhee BS. Examining factor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learning outcomes: Focusing on effects of college. J Educ Admin. 2009;27(1):199-222.
  • Kim W. The effect of self-governing activities on a sense of community: A comparison between an innovation school and general school. Studies on Korean Youth. 2016;27(1): 179-203. [https://doi.org/10.14816/sky.2016.27.1.179]
  • Kim JP, Hwang CS, Jaegal U. New directions on university student initiated activities. Student Guidance Center of Soonchunhyang University. 2001;8:101-141.
  • Park GN. The effects of self-rule activity participation on the political efficacy in the high school. M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1;2-12.
  • Yoon YM. The relationship among extracurricular club activities with adaptation to campus lif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Community Development Society. 2013;38(2):21-30.
  • Bednar RL, Scott R. Self-esteem: Paradoxes and innovations in clinical theory and practice, 2nd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5;10-19.
  • Kim KH, Ha HS.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fact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00;1(1):7-20.
  • Samuel W. Personality: Searching for the sources of human behavior, 1st Ed. McGraw-Hill, 1981;25-32.
  • Schunk D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 Psychol. 1991;26(3-4):207-231. [https://doi.org/10.1080/00461520.1991.9653133]
  • Gist ME, Mitchell TR. Self-efficacy: A theoretical analysis of its determinants and malleability. Acad Manag Rev. 1992;17(2):183-211. [https://doi.org/10.5465/amr.1992.4279530]
  • Block J, Kremen AM.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 Pers Soc Psychol. 1996;70(2):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 Funder DC, Parke RD, Tomlinson-Keasey C, et al. Studying lives through time: Personality and development, 1st E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3;377-398. [https://doi.org/10.1037/10127-000]
  • Jeon JH.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 autonomous activities. MA Thesis. Jeonju University, Jeonju. 2012;1-15.
  • Kim S.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of satisfaction with life, through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leisure club activities III.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2014;38(3):150-165.
  •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2nd E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45-60. [https://doi.org/10.1515/9781400876136]
  • Becker H, Stuifbergen A, Oh HS, et al. Self-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A health self-efficacy measure. Health Values. 1993;17(5):42-50.
  • Yoo SK, Shim HW.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s in resilient adolesc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2;16(4):189-206.
  • Beyers W, Goossens L. Concurrent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in a sample of European freshman students. Educ Psychol Meas. 2002;62(3):527-538. [https://doi.org/10.1177/00164402062003009]
  • Kim HS.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in school life resulted by perceived school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prospec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4;11(3):199-215.
  • Fleming JS, Courtney BE. The dimensionality of self-esteem: II. Hierarchical facet model for revised measurement scales. J Pers Soc Psychol. 1984;46(2):404-412. [https://doi.org/10.1037/0022-3514.46.2.404]
  • Jung J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periences and ego-resilienc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2011;8(2):101-124.
  • Cho SH.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academic adjustment,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with the extracurricular club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MA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2007;4-12.
  • Kang MS. The influ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self-directedness and major satisfaction up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employability. PhD Thesis. Hanseo University, Seosan. 2015;27-29.
  • Duffy RD. Sense of control and career adaptabilit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J Career Assess. 2010;18(4):420-430. [https://doi.org/10.1177/1069072710374587]
  •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2nd Ed. New York: W.H. Freeman, 1997;158-166. [https://doi.org/10.1891/0889-8391.13.2.158]
  • Kim EA, Chung OB, Ching SH.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of children focusing on sex and age. J Educ Stud. 2007;38(2):23-47.
  • Klohnen EC.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 Pers Soc. Psychol. 1996;70(5): 1067-1079.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
  • Jo EH. The mediator effect of ego-resilience and positive a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arching for meaning and meaning presence in life.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9;12-16. [https://doi.org/10.1037/e637072009-001]
  • Ryan RM, Deci EL.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 Psychol. 2000;55(1):68-78.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 Levesque C, Zuehlke AN, Stanek LR, et al. Autonomy and competence in German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4;96(1): 68-84. [https://doi.org/10.1037/0022-0663.96.1.68]
  • Mussen PH.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Formerly Carmichael's manual of child psychology, 4th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1983;275-385.
  • Son HC.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self-efficacy: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moderating role of conscientiousness. PhD Thesis. Gachon University, Seongnam. 2016;12-18.
  • Lee SH.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s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and ego resili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MA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isty, Gwangju. 2014;14-18.
  • Kim H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 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adapatation to school life. MA Thesis. Seonam university, Namwon. 2014;57-58.

Appendix

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① 남자    ② 여자  2. 귀하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       )세  3. 귀하의 학년은 무엇입니까? ① 1학년    ② 2학년    ③ 3학년    ④ 4학년  4. 귀하가 속한 대학의 지역은 어디입니까? ① 서울    ② 부산    ③ 대구    ④ 인천    ⑤ 광주 ⑥ 대전    ⑦ 울산    ⑧ 경기    ⑨ 강원    ⑩ 충북 ⑪ 충남    ⑫ 전북    ⑬ 전 남    ⑭ 경북    ⑮ 경남  5. 귀하가 재학 중인 학교는? ① 3년제 대학교       ② 4년제 대학교  6. 현재 학생회(총학생회, 단과대학생회 포함)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습니까? ① 현재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다. ② 전에 가입하여 활동하였지만 지금은 아니다. ③ 전혀 학생회 활동을 해 본 적이 없다.   7. 현재 동아리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습니까?(학생회 제외) ① 현재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다. ② 전에 가입하여 활동하였지만 지금은 아니다. ③ 전혀 동아리 활동을 해 본 적이 없다.

다음 문항들은 귀하가 자치활동(학생회, 동아리 등)을 하면서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 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각 문항을 주의 깊게 읽으신 후 주어진 문항에 대하여 귀하가 동의하는 정도를 “√”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문항들은 귀하가 대학생활을 하면서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 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각 문항을 주의 깊게 읽으신 후 주어진 문항에 대하여 귀하가 동의하는 정도를 “√”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문항들은 학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상황에서 귀하가 스스로 어떻게 느끼는 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각 문항을 주의 깊게 읽으신 후 주어진 문항에 대하여 귀하가 동의하는 정도를 “ √ ”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Table 1.

Response frequency and percentage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

Variables Frequency Percent (%)
Gender Male 197 52.25
Female 180 47.75
Age 20 ≤ × < 25 329 87.27
25 ≤ × < 30 40 10.61
30 ≤ × < 35 5 1.33
35 ≤ × < 40 2 0.53
40 ≤ × < 45 1 0.27
Grade Freshman 163 43.24
Sophomore 126 33.42
Junior 88 23.34
Senior 0 0.00
University 3-year 84 22.28
4-year 293 77.72
Location Seoul 42 11.14
Busan 0 0.00
Daegu 0 0.00
Incheon 0 0.00
Kwangju 37 9.81
Daejeon 31 8.22
Ulsan 0 0.00
Gyeonggi 34 9.02
Gangwon 75 19.89
Chungbuk 19 5.04
Chungnam 23 6.10
Jeonbuk 0 0.00
Jeonnam 29 7.69
Gyeongbuk 35 9.28
Gyeongnam 52 13.79

Table 2.

Averag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university and college life

Variables N M SD t F p
Gender Male 197 47.75 7.693 2.316 4.192 0.021
Female 180 45.97 7.178
Age 20 ≤ × < 25 329 46.54 7.290 2.768 0.027
25 ≤ × < 30 40 48.80 8.410
30 ≤ × < 35 5 48.40 8.562
35 ≤ × < 40 2 56.50 4.950
40 ≤ × < 45 1 62.00
Total 377 46.90 7.494
Grade Freshman 163 46.31 6.621 3.335 0.037
Sophomore 126 46.40 7.521
Junior 88 48.69 8.695
Senior 0
Total 377 46.90 7.494
University 3-year 84 45.43 5.817 −2.415 16.736 0.017
4-year 293 47.32 7.868
Student council Join 50 49.32 8.563 2.188 7.832 0.033
No join 327 46.53 7.261
Club Join 139 48.05 8.330 2.181 18.181 0.030
No join 238 46.23 6.890
Location Seoul 42 49.86 8.938 2.001 0.038
Busan 0
Daegu 0
Incheon 0
Kwangju 37 45.89 6.428
Daejeon 32 47.45 7.478
Ulsan 0
Gyeonggi 34 49.24 8.585
Gangwon 75 47.35 7.435
Chungbuk 19 45.63 6.833
Chungnam 23 46.52 6.037
Jeonbuk 0
Jeonnam 29 45.97 8.475
Gyeongbuk 35 45.80 7.677
Gyeongnam 52 44.62 5.442
Total 377 46.90 7.494

Table 3.

Averag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major

Variables N M SD t F p
Gender Male 197 63.44 11.300 2.356 0.072 0.019
Female 180 60.76 10.738
Age 20 ≤ × < 25 329 61.48 10.708 3.561 0.007
25 ≤ × < 30 40 65.97 12.479
30 ≤ × < 35 5 66.60 14.605
35 ≤ × < 40 2 77.00 9.899
40 ≤ × < 45 1 83.00
Total 377 62.16 11.102
Grade Freshman 163 62.13 9.652 0.416 0.660
Sophomore 126 61.60 12.172
Junior 88 63.01 12.047
Senior 0
Total 377 62.16 11.102
University 3-year 84 63.01 11.673 0.796 3.147 0.427
4-year 293 61.92 10.941
Student council Join 50 64.12 12.067 1.341 0.153 0.181
No join 327 61.86 10.936
Club Join 139 63.09 11.059 1.237 0.025 0.217
No join 238 61.62 11.115
Location Seoul 42 63.83 11.637 0.640 0.763
Busan 0
Daegu 0
Incheon 0
Kwangju 37 62.46 12.720
Daejeon 32 62.97 13.656
Ulsan 0
Gyeonggi 34 62.18 11.785
Gangwon 75 60.77 9.120
Chungbuk 19 59.16 12.289
Chungnam 23 64.96 11.589
Jeonbuk 0
Jeonnam 29 63.07 10.902
Gyeongbuk 35 60.91 10.262
Gyeongnam 52 62.31 10.228
Total 377 62.16 11.102

Table 4.

Averag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self-esteem

Variables N M SD t F p
Gender Male 197 32.0406 4.84751 0.489 1.393 0.625
Female 180 31.8222 3.67561
Age 20 ≤ × < 25 329 31.6505 3.99878 3.027 0.018
25 ≤ × < 30 40 33.8000 6.16525
30 ≤ × < 35 5 34.4000 4.44972
35 ≤ × < 40 2 35.5000 0.70711
40 ≤ × < 45 1 32.0000
Total 377 31.9363 4.32351
Grade Freshman 163 31.8650 3.90870 0.284 0.753
Sophomore 126 31.8175 4.51735
Junior 88 32.2386 4.78502
Senior 0
Total 377 31.9363 4.32351
University 3-year 84 31.7976 4.00235 0.333 1.295 0.739
4-year 293 31.9761 4.41698
Student council Join 50 32.7600 5.72699 1.449 1.853 0.148
No join 327 31.8104 4.06324
Club Join 139 32.5899 4.57437 2.255 2.021 0.025
No join 238 31.5546 4.13220
Location Seoul 42 33.0714 5.43876 2.236 0.019
Busan 0
Daegu 0
Incheon 0
Kwangju 37 32.5135 5.03113
Daejeon 32 32.6774 3.94451
Ulsan 0
Gyeonggi 34 33.5882 5.15292
Gangwon 75 31.2000 3.24662
Chungbuk 19 30.5263 6.44953
Chungnam 23 31.6522 3.02428
Jeonbuk 0
Jeonnam 29 32.5862 3.23505
Gyeongbuk 35 30.3714 2.48626
Gyeongnam 52 31.4808 4.34534
Total 377 31.9363 4.32351

Table 5.

Averag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self-efficacy

Variables N M SD t F p
Gender Male 197 88.6904 14.59838 0.924 4.950 0.356
Female 180 87.4778 10.75188
Age 20 ≤ × < 25 329 87.5532 12.37170 1.751 0.138
25 ≤ × < 30 40 91.8750 16.68438
30 ≤ × < 35 5 90.8000 9.57601
35 ≤ × < 40 2 102.0000 4.24264
40 ≤ × < 45 1 80.0000
Total 377 88.1114 12.90321
Grade Freshman 163 88.3313 11.29135 0.075 0.928
Sophomore 126 87.7540 15.03579
Junior 88 88.2159 12.53175
Senior 0
Total 377 88.1114 12.90321
University 3-year 84 87.8929 14.39965 0.162 0.575 0.860
4-year 293 88.1741 12.46723
Student council Join 50 90.0600 16.56085 1.147 3.748 0.252
No join 327 87.8135 12.25291
Club Join 139 89.0863 12.66942 1.122 0.020 0.263
No join 238 87.5420 13.03049
Location Seoul 42 89.2143 17.04304 1.157 0.322
Busan 0
Daegu 0
Incheon 0
Kwangju 37 90.7027 17.79024
Daejeon 32 88.1613 10.53912
Ulsan 0
Gyeonggi 34 91.8235 14.95543
Gangwon 75 85.7333 8.25495
Chungbuk 19 83.6316 16.66070
Chungnam 23 89.6087 10.60763
Jeonbuk 0
Jeonnam 29 89.1034 9.28649
Gyeongbuk 35 87.8571 9.72608
Gyeongnam 52 86.9423 13.07057
Total 377 88.1114 12.90321

Table 6.

Averag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ego-resiliency

Variables N M SD t F p
Gender Male 197 47.4822 8.57119 2.420 14.568 0.016
Female 180 45.6333 6.16160
Age 20 ≤ × < 25 329 46.1489 7.20554 3.625 0.007
25 ≤ × < 30 40 50.1000 8.94657
30 ≤ × < 35 5 44.0000 7.41620
35 ≤ × < 40 2 57.0000 18.38478
40 ≤ × < 45 1 47.0000
Total 377 46.5995 7.56471
Grade Freshman 163 45.7975 7.03094 1.631 0.197
Sophomore 126 47.1429 7.57122
Junior 88 47.3068 8.41230
Senior 0
Total 377 46.5995 7.56471
University 3-year 84 45.5476 7.33436 1.448 0.351 0.149
4-year 293 46.9010 7.61490
Student council Join 50 49.0600 10.05984 1.923 4.822 0.060
No join 327 46.2232 7.05124
Club Join 139 48.0504 7.94120 2.873 3.009 0.004
No join 238 45.7521 7.21881
Location Seoul 42 50.0238 7.77265 4.659 0.000
Busan 0
Daegu 0
Incheon 0
Kwangju 37 47.0811 8.66788
Daejeon 32 48.7419 7.38001
Ulsan 0
Gyeonggi 34 50.2059 7.97260
Gangwon 75 46.4533 7.17596
Chungbuk 19 40.8421 8.75762
Chungnam 23 45.4783 7.53096
Jeonbuk 0
Jeonnam 29 46.1724 5.07141
Gyeongbuk 35 45.1143 5.91494
Gyeongnam 52 43.9038 6.33775
Total 377 46.5995 7.56471

Table 7.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university and college life

Model Unstandar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B Std. Error Beta
Constant 45.779 .477 96.068 .000
Satisfaction of autonomous activities .036 .009 .196 3.876 .000
Dependent variable : satisfaction of university and college life R² = .036 F = 15.025

Table 8.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major

Model Unstandar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B Std. Error Beta
Constant 60.865 .711 85.557 .000
Satisfaction of autonomous activities .042 .014 .153 3.008 .003
Dependent variable : satisfaction of majors R²= .021 F=9.047

Table 9.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self-esteem

Model Unstandar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B Std. Error Beta
Constant 31.360 .276 113.609 .000
Satisfaction of autonomous activities .019 .005 .175 3.442 .001
Dependent variable : Self-esteem R²= .031 F=11.849

Table 10.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self-efficacy

Model Unstandar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B Std. Error Beta
Constant 86.902 .830 104.656 .000
Satisfaction of autonomous activities .039 .016 .123 2.403 .017
Dependent variable : Self-efficacy R²= .015 F=5.776

Table 11.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ego-resiliency

Model Unstandar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B Std. Error Beta
Constant 45.287 .478 94.816 .000
Satisfaction of autonomous activities .043 .009 .228 4.533 .000
Dependent variable : Ego resilience R²= .052 F=20.552


설문지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에 응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이 설문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의 연구 논문 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입니다. 답변해주신 내용은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귀중한 자원이 될 것입니다. 설문자료는 연구 목적 이외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귀하의 개인 정보는 안전하게 보호될 것입니다. 각 질문에는 정답이 없으므로, 실제 느낌과 생각에 따라 한 문항도 빠짐없이 솔직하게 응답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다시 한번 귀하의 적극적인 참여와 배려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나는 자치활동을 하면서 (    ) 만족한다.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인간관계를 넓힐 수 있기 때문에 1 2 3 4 5
2. 학교 생활의 여러 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1 2 3 4 5
3. 수업 시간 이외에 만날 수 있는 사람이 있어서 1 2 3 4 5
4. 건강을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1 2 3 4 5
5. 활동 자체가 매우 흥미롭기 때문에 1 2 3 4 5
6. 새로운 것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1 2 3 4 5
7.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기 때문에 1 2 3 4 5
8. 다양한 지식을 얻게 해주어서 1 2 3 4 5
9. 새로운 취미생활을 갖게 해주어서 1 2 3 4 5
10. 체력을 증진시켜주기 때문에 1 2 3 4 5
11. 나에게 정서적 안정을 갖게 해주기 때문에 1 2 3 4 5
12. 자부심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1 2 3 4 5
13. 지금까지 모르는 사람들과 친분을 쌓을 수 있기 때문에 1 2 3 4 5
14. 학업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1 2 3 4 5
15. 바쁜 대학생활의 여유를 갖게 해주어서 1 2 3 4 5
16.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서 1 2 3 4 5
17. 감수성이 좋아지는 것 같아서 1 2 3 4 5
18. 자기 개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1 2 3 4 5
19. 다른 사람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1 2 3 4 5
20.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1 2 3 4 5
21. 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1 2 3 4 5
22. 신체적인 활력을 되찾게 해주기 때문에 1 2 3 4 5
23.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1 2 3 4 5
24. 평소 내가 하고 싶던 것을 할 수 있기 때문에 1 2 3 4 5

나는 자치활동을 하면서 (    ) 만족한다.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전공학과의 교육내용에 흥미를 느낀다. 1 2 3 4 5
2. 나는 전공학과에서 배우는 교과목이 나와 잘 맞다. 1 2 3 4 5
3. 나의 전공학과는 내가 다닐만한 학과이다. 1 2 3 4 5
4. 나의 전공에 대해서 만족한다. 1 2 3 4 5
5. 나는 전공에서 무언가 가치 있는 것을 배우고 있다고 느낀다. 1 2 3 4 5
6. 전공 도서는 배울 만한 가치가 있다. 1 2 3 4 5
7. 나는 내 전공학과를 사람들에게 자랑스럽게 말한다. 1 2 3 4 5
8. 내 전공학과는 인기학과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9. 많은 사람들이 내가 속한 전공학과에 오고 싶어 할 것이다. 1 2 3 4 5
10. 내 전공학과를 졸업했다는 배경이 사회 생활에 유리할 것이다. 1 2 3 4 5
11. 우리 부모님은 나의 전공학과를 떳떳하게 생각할 것이다. 1 2 3 4 5
12. 졸업 후의 진로에 지금의 전공이 도움이 된다. 1 2 3 4 5
13. 교수님들은 가르치려고 하는 목표가 뚜렷하고 알기 쉽게 설명한다. 1 2 3 4 5
14. 전공 시험은 적절한 양으로 주어지고 공부에 도움이 된다. 1 2 3 4 5
15. 전공 공부를 심화 시킬 수 있는 기회가 적절히 주어진다. 1 2 3 4 5
16. 전공 영역에 있어서 공부하는 방법이나 내용에 대해 교수님의 조언을 들을 수 있다. 1 2 3 4 5
17. 원한다면 언제나 교수님을 만날 수 있다. 1 2 3 4 5
18. 교수 – 학생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1 2 3 4 5
19. 나는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는 것이 재미있다. 1 2 3 4 5
20. 가능하다면 어려운 과목은 피해가고 싶다. 1 2 3 4 5
21. 나는 깊이 생각해야 하는 문제보다는 쉽게 풀 수 있는 문제를 더 좋아한다. 1 2 3 4 5
22. 비록 실패하더라도 다른 친구들이 풀지 못한 문제에 도전하는 것이 즐겁다. 1 2 3 4 5
23. 시간이 많이 들더라도 깊이 생각하게 만드는 과목이 더 재미있다. 1 2 3 4 5
24. 만약 여러 과목 중 몇 과목만을 선택할 수 있다면, 쉬운 과목만을 선택할 것이다. 1 2 3 4 5
25. 학교 공부는 무조건 쉬울수록 좋다. 1 2 3 4 5
26. 쉬운 문제보다는 조금 틀리더라도 어려운 문제를 푸는 것이 더 좋다. 1 2 3 4 5
27. 나는 쉬운 문제를 여러 개 푸는 것보다 어려운 문제 하나를 푸는 것을 더 좋아한다. 1 2 3 4 5
28. 나는 쉬운 과목보다는 어려운 과목을 좋아한다. 1 2 3 4 5
29. 나는 수업시간에 새로 배운 것들을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쉽게 연결시킬 수 있다. 1 2 3 4 5
30. 나는 보통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계획을 세우고 거기에 맞추어 공부한다. 1 2 3 4 5
31. 나는 수업시간 중에 중요한 내용을 잘 기록할 수 있다. 1 2 3 4 5
32. 내가 싫어하는 수업시간에도 주의집중을 잘 할 수 있다. 1 2 3 4 5
33. 나는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을 기억하기 쉽게 바꿀 수 있다. 1 2 3 4 5
34. 나는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잘 기억할 수 있다. 1 2 3 4 5
35. 나는 어떻게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인지를 잘 안다. 1 2 3 4 5
36. 나는 정해진 시간 안에 주어진 과제를 잘 마칠 수 있다. 1 2 3 4 5
37. 나는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 중 내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1 2 3 4 5
38. 나는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 중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잘 파악할 수 있다. 1 2 3 4 5
39. 선생님과 친구들 앞에서 발표하는 것은 내게 너무 큰 스트레스를 준다. 1 2 3 4 5
40. 시험을 치루기 전에는 시험을 망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1 2 3 4 5
41. 수업시간 중에 교수님이 문제를 풀라고 시킬까봐 불안하다. 1 2 3 4 5
42. 토론을 할 때, 혹시 창피를 당할까봐 내 의견을 제대로 발표하지 못한다. 1 2 3 4 5
43. 수업시간에 발표를 할 때, 실수를 할 것 같아 불안하다. 1 2 3 4 5
44. 선생님이 모두에게 질문을 할 때, 답을 알아도 대답하지 못한다. 1 2 3 4 5
45. 시험이 다가오면 불안해서 잠을 이룰 수 가 없다. 1 2 3 4 5
46. 나는 시험 때만 되면 우울해 진다. 1 2 3 4 5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대학에 들어와서 속을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친구들을 많이 사귀었다. 1 2 3 4 5
2. 나는 최근 들어 자주 우울해진다. 1 2 3 4 5
3. 나는 최근 들어 피곤하다고 느낄 때가 많다. 1 2 3 4 5
4. 나는 대학에서의 학업성적에 만족하고 있다. 1 2 3 4 5
5. 나는 학과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지 못하다. 1 2 3 4 5
6. 나는 최근 들어 신경이 곤두서 있다. 1 2 3 4 5
7. 나는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공부를 충분히 잘 해낼 능력이 없는 것같다. 1 2 3 4 5
8. 나는 현재의 주거형태에서 잘 생활해 나가고 있다. 1 2 3 4 5
9. 나는 최근에 머리가 자주 아프다. 1 2 3 4 5
10. 나는 최근에 학습 의욕이 없고, 공부를 하려해도 집중이 잘 안된다. 1 2 3 4 5
11. 나는 과모임, 동아리 활동, 동문회 등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1 2 3 4 5
12. 나는 최근에 대학교육의 가치에 대해서 회의를 느끼고 있다. 1 2 3 4 5
13. 나는 최근 들어 숙면을 취하기가 어렵다. 1 2 3 4 5
14. 나는 최근에 외롭다고 느낄 때가 많다. 1 2 3 4 5
15. 나는 요즘 건강상태가 좋은 것 같다. 1 2 3 4 5
16. 내가 흥미를 느끼는 것들은 대부분 대학의 학과공부와 관련이 없는 것들이다. 1 2 3 4 5
17. 나는 대학생활에 적응이 힘들어 휴학에 대해 많이 생각한다. 1 2 3 4 5
18. 나는 대학생활과 관련된 스트레스 때문에 힘들다 1 2 3 4 5
19. 나는 대학에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1 2 3 4 5
20. 나는 최근 들어 작은 일에도 짜증을 잘 낸다 1 2 3 4 5
21. 나는 대학 내의 환경에 잘 맞는 것 같다. 1 2 3 4 5
22. 나는 대학에서 원하는 만큼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많은 친구들을 사귀고 있다. 1 2 3 4 5
23. 나는 대학에 다니기로 한 결정에 대해서 지금 만족한다. 1 2 3 4 5
24. 나는 특히 이 학교에 다니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서 만족한다. 1 2 3 4 5
25. 나는 다른 대학으로 갔으면 한다. 1 2 3 4 5
26. 나는 대학생활에서 다른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이 편안하지 못하다. 1 2 3 4 5
27. 나는 학사학위를 받을 때까지 학교를 계속 다닐 것이다. 1 2 3 4 5
28. 나는 대학생활을 잘 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29. 못마땅하게도 나는 다른 학생들과는 좀 다른 것 같다. 1 2 3 4 5
30. 이모저모로 볼 때. 대학에서 이렇게 있는 것보다는 차라리 집에 있는 편이 낫겠다. 1 2 3 4 5
31. 최근에 나는 다른 대학으로 옮길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 1 2 3 4 5
32. 최근에 나는 대학을 아주 그만둘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 1 2 3 4 5
33. 나는 휴학을 했다가 후에 공부를 마칠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 1 2 3 4 5
34. 나는 대학에서의 인간관계에 꽤 만족하고 있다. 1 2 3 4 5
35. 나는 나 자신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1 2 3 4 5
36. 나도 다른 사람만큼 일을 잘 해낼 수 있다. 1 2 3 4 5
37. 나는 대체적으로 나 자신에게 만족한다. 1 2 3 4 5
38. 나는 좋은 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 1 2 3 4 5
39. 나도 남들만큼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느낀다. 1 2 3 4 5
40. 나는 자랑거리를 많이 가지고 있지 않다. 1 2 3 4 5
41. 나의 삶은 크게 쓸모 있는 것은 아니다. 1 2 3 4 5
42. 나에게 나 자신을 존중하는 마음이 좀 더 있었으면 한다. 1 2 3 4 5
43. 때때로 나는 좋은 사람이 아니라고 느껴진다. 1 2 3 4 5
44. 나는 대체로 나를 실패자라고 느낀다. 1 2 3 4 5
45. 나는 너그럽고 마음씨 좋게 친구들을 대한다. 1 2 3 4 5
46. 나는 어떤 일에 깜짝 놀라게 되더라도 곧바로 다시 편안한 상태로 돌아온다. 1 2 3 4 5
47. 나는 새롭고 특이한 일을 다루고 처리하는 것을 즐긴다. 1 2 3 4 5
48. 나는 대개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긴다. 1 2 3 4 5
49. 나는 이전에 맛보지 못했던 새로운 음식을 맛보기를 즐긴다. 1 2 3 4 5
50. 다른 사람들은 나를 매우 활기차고 활동적인 사람으로 생각한다. 1 2 3 4 5
51. 나는 익숙한 장소를 가더라도 다른(새로운) 길로 가는 것을 좋아한다. 1 2 3 4 5
52. 나는 대다수의 사람들 보다 호기심이 더욱 강하다. 1 2 3 4 5
53. 내가 만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호감이 가는 좋은 사람들이다. 1 2 3 4 5
54. 나는 어떤 일을 행동에 옮기기 전에 먼저 주의 깊게 생각한다. 1 2 3 4 5
55. 나는 새롭고 다른 일들을 해보는 것이 좋다. 1 2 3 4 5
56. 나의 하루하루의 삶은 흥미진진한 일들로 가득 차 있다. 1 2 3 4 5
57. 나는 내 자신이 상당히 강한 성격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58. 나는 다른 사람에게 화가 났을 때 이성을 갖고 빨리 화를 푼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