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HOME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Vol. 22 , No. 4

[ Article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Vol. 22, No. 4, pp. 299-309
Abbreviation: J Korean Ophthalmic Opt Soc
ISSN: 1226-5012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Dec 2017
Received 26 Oct 2017 Revised 20 Nov 2017 Accepted 27 Nov 2017
DOI: https://doi.org/10.14479/jkoos.2017.22.4.299

임상실습 시 안경광학 전공학생이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이정윤1 ; 황혜경2, *
1선린대학교 안경광학과, 포항 37560
2대구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대구 41453

A Study on the Stressor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phthalmic Optics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Jeong-Yun Lee1 ; Hye-Kyung Hwang2, *
1Dept. of Optometry, Sunlin College University, Pohang 37560, Korea
2Dept. of Ophthalmic Optics, Daegu Health College, Daegu 41453, Korea
Correspondence to : *Hye-Kyung Hwang, TEL: +82-53-320-1389, E-mail: jenune70@hanmail.net




초록
목적

안경광학 전공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BEPSI-K) 수준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별 비교와 임상실습시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임상실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대구 지역에 소재한 3년제 안경광학 전공 재학생 중 1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지 구성은 일반적인 특성 8문항, BEPSI-K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5문항,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련된 2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와 일상적 스트레스 요인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p<0.05). 실습만족도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환경요인을 제외한 다른 모든 요인에서 불만족일수록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건강상태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임상지도자,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 일상적 스트레스 요인에서 건강이 좋지 않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대인관계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역할 및 업무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대인관계가 원만할수록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실습기관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역할 및 업무요인에서 안과병의원이 안경원과 안경원 및 안과병의원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BEPSI-K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는 임상지도자에 의한 스트레스로 나타났다(β = 0.225, p<0.01).

결론

안경광학 전공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일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경사의 역할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이나 훈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원활한 임상실습 운영을 위해 실습기관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factors for clinical training stress by the level of daily stress (BEPSI-K) for students majoring in optometry, examine stress they experienced during clinical training,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them get clinical training more effectivel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in 158 students majoring in optometry at three-year colleges in Daegu. The questionnaire regarding clinical training stress was composed of 8 item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5 items for daily stress based on BEPSI-K, and 29 items for clinical training stress.

Results

Females were higher than males at levels of the relationships with other workers and daily stress (p<0.05). As for the factors for stress by training satisfaction, there were more dissatisfactions with the higher level of stress in all the factors except the environmental ones (pp<0.001). For stress by health status, the poorer health in terms of a clinical leader, the relationships with other workers, and daily stress, the higher level of stress (pp<0.01) was identified. For stress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 were better 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 lower level of stress in terms of all the factors except roles and duties (pp<0.05). For stress by training institutions, ophthalmological clinics were at higher levels of such factors for stress as roles and duties than opticians’ (pp<0.05). Stress caused by a clinical leader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BEPSI-K (β=0.225, pp<0.01).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or training that students majoring in optometry can take pride in opticians’ roles with the objective of reducing their clinical training stress and daily stress. To develop programs that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institutions with successful operating clinical training is needed.


Keywords: Ophthalmic optics, BEPSI-K, Daily stress, Clinical practice stress
키워드: 안경광학, BEPSI-K, 일상적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

서 론

직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등의 내용을 체계화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1]이 대학교육에 도입되면서 안경사의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현장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이 강조되고 있으며, 안경업계 현장에서도 전문적인 임상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자질을 갖춘 시각관리 인력에 대한 요구도가 더욱 높아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안경사 교육의 교육과정은 교내에서의 이론 및 실습과 현장에서의 임상(현장)실습으로 대별되며, 임상(현장)실습은 고도의 지식과 기술적 능력을 갖추고 합리성에 근거하여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교과목이다.

현장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임상(현장)실습은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주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2] 실습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부족과 전문기술 부족 등으로 인해 복합적이고 다양한 스트레스를 겪게 되거나 임상실습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3,4] 이러한 부정적인 변화는 학습동기를 유발시키는 데 충분한 자극을 줄 수 없으므로 기대에 어긋난 실습경험은 자신감을 위축시키고 전문직업인으로서 직업관이 좌절되어 임상실습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4] 많은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기도 한다.[5]

방사선(학)과, 언어재활(학)과, 간호학과,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습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들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3,4,6,7] 안경광학과 학생의 임상(현장)실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임상실습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임상실습의 실태[8,9] 및 만족도[10]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안경광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 관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전공학생들의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Korean(BEPSI-K)[11]의 수준과 임상실습에 관련한 여러 요인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조사하여 향후 학생들이 임상실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조사의 대상자는 대구 지역에 소재한 3년제 안경광학과에 재학 중이면서 안경원 또는 안과병의원에서 임상실습을 마친 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배부한 설문지 중 응답 방법에 오류가 있거나 무응답이 많은 16부를 제외한 158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연구방법

설문지 구성은 국가면허증 응시 요건에 임상실습이 필수인 보건계열 관련 전공학생들의 실습스트레스를 분석한 선행연구[3,5,12]를 참고하여 본 조사의 연구자들이 구성하였다. 설문조사에 앞서 1차로 구성한 설문지로 대구 소재 A대학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을 재구성하여 연구도구로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성별, 연령, 학년, 실습기간, 임상실습만족도, 건강상태, 대인관계, 실습기관 등 8문항은 일반적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1) BEPSI-K에 따른 일상적인 스트레스

일상적인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Yim 등[11]이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개발하고 Baek 등[3]과 Kim과 Shin[5]이 사용한 스트레스 측정도구 BEPSI-K를 사용하였다. 총 5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는 스트레스가 ‘전혀 없다’의 1점에서부터 ‘언제나·항상 느낀다’의 5점까지 Likert scale 측정방법에 따라 5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상적 스트레스의 신뢰도(Cronbach’s α)는 0.811이었다.

2)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련된 도구는 총 29문항(실습환경요인 5문항, 임상지도자요인 6문항,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 3문항, 가치·이상요인 6문항, 역할 및 업무요인 9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는 임상실습으로 인한 스트레스 관련 요인에 대한 기존의 연구도구[13,14]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각 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Likert scale 측정방법에 따라 5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베리맥스 회전방법으로 요인분석을 하였고, 전체 문항의 신뢰도(Cronbach’s α)는 0.922이었으며, 하위척도별 신뢰도 (Cronbach’s α)는 실습환경요인 0.645, 임상지도자요인 0.882,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 0.758, 가치·이상요인 0.839, 업무 및 역할요인 0.906이었다.

3.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일상적 스트레스(BEPSI-K) 수준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로 산출하였다. 일상적 스트레스(BEPSI-K) 수준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 영역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영역 비교는 t-test와 one-way ANOVA를 이용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스트레스 요인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고, 일상적 스트레스(BEPSI-K)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통계적 유의검정 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빈도분석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성’ 60.8%, ‘여성’ 39.2%이었으며, 연령분포는 ‘21~24세’ 75.9%로 조사 대상자의 대다수를 차지했다. 조사 대상자의 학년 분포는 ‘2학년’ 44.3%, ‘3학년’ 55.7%로 조사되었으며, 임상실습 기간은 ‘4주’ 49.4%, ‘8주’ 50.6%로 나타났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Characteristic Categories Frequency(%)
Gender Male 96(60.8)
Female 62(39.2)
Age ≤ 20 yrs. 2(1.3)
21~24 yrs. 120(75.9)
25~30 yrs. 36(22.8)
Grade 2 nd 70(44.3)
3 rd 88(55.7)
Clinical practice
period
4weeks 78(49.4)
8weeks 80(50.6)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s
Very satisfied 20(12.7)
Satisfied 30(19.0)
Normal 82(51.9)
Unsatisfied 22(13.9)
Very Unsatisfied 4(2.5)
Health status Very good 68(43.0)
good 56(35.4)
Normal 22(13.9)
Poor 10(6.3)
Very Poor 2(1.3)
Human
relationship
Very harmony 58(36.7)
Harmony 64(40.5)
Normal 34(21.5)
Disharmony 2(1.3)
Very disharmony −(0.0)
Academic
performance
< 2.0 16(10.1)
2.0~ 2.9 54(34.2)
3.0~ 3.9 80(50.6)
≥4.0 8(5.1)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Optical shop 105(66.5)
Eye clinic 26(16.5)
Optical shop & Eye clinic 27(17.1)

임상실습만족도는 ‘보통이다’가 51.9%로 가장 많았으며, ‘만족한다’ 19.0%, ‘매우 만족한다’ 12.7%의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학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한 Park[14]의 연구와 치위생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한 Jang과 Kim[15]의 연구에서 실습만족도가 보통 이상이 각각 93.0%, 78.3%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으며, Baek[16]의 임상실습 관련 만족도를 임상지도, 실습교육, 직업적 업무와 역할, 실습대인관계, 실습기관 분위기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을 때 평균 3.42이상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임상실습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는 ‘매우 건강하다’ 43.0%, ‘건강하다’ 35.4%로 나타났으며, 평소의 대인관계는 보통 이상이 98.7%로 대다수의 학생들이 현재의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적은 평점 3.0 이상 4.0 미만이 50.6%로 가장 많았고 4.0 이상이 5.1%로 가장 적었다. 임상실습 기관은 ‘안경원’이 66.5%로 가장 많았으며, ‘안과병의원’이 16.5%, ‘안경원 및 안과병의원’이 17.1%로 조사되었다.

2. BEPSI-K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평가하도록 구성된 일상적 스트레스(BEPSI-K)를 이용하여 본 연구대상 학생이 느끼는 스트레스 수준을 ‘저 스트레스군’~1.60, ‘중등도 스트레스군’1.61~2.80, ‘고 스트레스군’2.81~5.00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조사대상 학생의 60.8%가 저 스트레스군에 포함되었으며, 34.2%가 중등도 스트레스, 5.1%가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2. 
Stress level according to BEPSI-K
Level N(%) Mean±SD
      ~1.60 96(60.8) 1.24±0.23
1.61~2.80 54(34.2) 2.24±0.29
2.81~5.00 8(5.1) 3.35±0.38
Total 158(100.0) 1.69±0.66
BEPSI-K: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Korean
SD: standard deviation

안경광학 전공학생들의 일상적 스트레스(BEPSI-K) 정도는 평균 1.69±0.66을 보여, 방사선,[3] 언어치료,[5] 치위생[17] 전공학생들의 일상적 스트레스(BEPSI-K) 수준인 평균 2.21±0.83, 2.20±0.68, 2.0±0.7에 비해 스트레스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낮은 스트레스를 보이는 이유는 선행연구가 없어 정확한 파악이 어려우나 학과 특성에 따른 차이나 조사 대상자의 규모에 따라 달라 질수 있다고 사료된다.

3. 일상적 스트레스(BEPSI-K) 수준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

조사대상자에 대한 일상적 스트레스(BEPSI-K) 수준에 따라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Comparison of stressors according to BEPSI-K
Characteristic Level Mean±SD F(p)
Practice environment       ~1.60 3.39±1.05a 5.885
0.003**
1.61~2.80 3.44±1.21a
2.81~5.00 4.75±0.27b
Practice instructor       ~1.60 1.77±0.71a 14.801
<0.001***
1.61~2.80 2.49±1.01b
2.81~5.00 2.56±0.87b
Relationship with other worker       ~1.60 1.99±0.83a 14.211
<0.001***
1.61~2.80 2.72±0.85b
2.81~5.00 2.00±0.00a
Value·ideal       ~1.60 2.42±0.98 2.228
0.111
1.61~2.80 2.76±0.87
2.81~5.00 2.65±1.16
Practice role       ~1.60 2.48±1.06 3.217
0.043*
1.61~2.80 2.90±1.01
2.81~5.00 3.00±1.31
BEPSI-K: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Korean
SD: standard deviation
a,bThe same subgroup by Scheffe test
p-value calculated using one-way ANOVA; *p<.05, **p<.01, ***p<.001

일상적 스트레스(BEPSI-K) 수준에 따른 임상실습환경에 영향을 받는 스트레스는 ‘저 스트레스군’ 3.39±1.05, ‘중등도 스트레스군’ 3.44±1.21, ‘고 스트레스군’ 4.75±0.27로 나타났다(P=0.003). 임상지도자에 영향을 받는 스트레스는 ‘저 스트레스군’ 1.77±0.71, ‘중등도 스트레스군’ 2.49±1.01, ‘고 스트레스군’ 2.56±0.87로 나타났다(P<.001).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에 영향을 받는 스트레스는 ‘저 스트레스군’ 1.99±0.83, ‘중등도 스트레스군’ 2.72±0.85, ‘고 스트레스군’ 2.00±0.00으로 나타났다(P<.001). 역할 및 업무에 영향을 받는 스트레스는 ‘저 스트레스군’ 2.48±1.06, ‘중등도 스트레스군’ 2.90±1.01, ‘고 스트레스군’ 3.00±1.31로 나타났다(P=0.043). 이는 방사선(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Baek 등[3]의 연구에서 일상적 스트레스(BEPSI-K) 수준에 따른 실습환경, 실습생간의 관계 역할, 실습활동에서 일상적 스트레스가 높으면 임상실습 스트레스도 유의하게 높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p<0.05). Hwang[13]의 연구 결과에서도 일상스트레스가 높으면 임상스트레스도 유의하게 높다고 보고하였다(p<0.01). 일상적인 스트레스는 부정적인 감정을 일으키고 이런 부정적인 감정은 건강악화 행동을 유발하며 신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18] 정확한 스트레스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임상실습에 대한 사전 정보와 지식을 충분히 습득할 필요가 있으며 임상 실습이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실습과정을 통해 효율적인 실습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19]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Table 4와 같다. 성별에 따른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은 ‘남성’ 2.06±0.86, ‘여성’ 2.52±0.85, 일상적 스트레스는 ‘남성’ 1.35±0.56, ‘여성’ 1.58±0.62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스트레스 요인이 높았다(p<0.01, p<0.05).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정신적·심리적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인자로 여겨지는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 항목은 다른 실습생들에 비해 나의 능력 부족, 임상지도자 및 근무자 간 관계형성 어려움의 내용으로 이루어져있다. 이는 스트레스와 성 역할 정체성과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유형은 남성형에 비해 여성형이라고 정의한 Jung[20]과 Park[21]의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을 이루고 있다. 방사선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실습환경, 임상지도자, 실습생 간 관계 등의 실습 스트레스와 일상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실습 활동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별도의 지도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한 Baek 등[3]의 연구와 부분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여학생에게 실습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인자들을 적절히 분석하여 여학생의 임상실습에서의 어려운 상황을 장애물이 아닌 기회로 전환하여 생각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Table 4. 
Comparison of stress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 n Practice
environmental
Practicee
instructor
Relationship withe
other worker
Value·ideal Practice role Daily stress
Mean±SD t/F Mean±SD t/F Mean±SD t/F Mean±SD t/F Mean±SD t/F Mean±SD t/F
p p p p p p
Gender
Male 96 3.49±1.11 0.208
0.836
1.95±0.85 −1.763
0.080
2.06±0.86 −3.241
0.001**
2.47±0.99 −1.196
0.234
2.66±1.14 0.144
0.885
1.35±0.56 −3.059
0.018*
Female 62 3.45±1.14 2.21±0.96 2.52±0.85 2.66±0.92 2.63±0.97 1.58±0.62
Age(y)
≤20 2 4.50±0.00 1.133
0.325
1.00±0.00 1.780
0.172
3.00±0.00 1.062
0.348
1.00±0.00 2.722
0.069
1.00±0.00 2.688
0.071
1.00±0.00 1.616
0.202
21~24 120 3.43±1.09 2.03±0.89 2.20±0.87 2.55±0.94 2.64±1.02 1.73±0.68
≥25 36 3.58±1.22 2.18±0.92 2.33±0.94 2.61±1.00 2.78±1.20 1.60±0.57
Grade
2nd 70 3.56±1.12 0.827
0.410
2.00±0.86 −0.670
0.504
2.20±0.89 −0.512
0.609
2.54±0.96 −0.083
0.934
2.60±1.11 −0.470
0.639
1.68±0.68 −0.194
3rd 88 3.41±1.12 2.10±0.93 2.27±0.88 2.55±0.97 2.69±1.05 1.70±0.65
Practice period
4weeks 78 3.48±1.13 0.067
0.946
2.05±0.91 0.009
0.992
2.24±0.89 0.043
0.966
2.55±0.97 0.024
0.981
2.66±1.08 0.969
0.924
1.70±0.66 0.997
0.869
8weeks 80 3.47±1.11 2.05±0.90 2.24±0.88 2.54±0.96 2.64±1.07 1.68±0.66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s
Very satisfied 20 3.70±1.28 0.962
0.430
1.40±0.68a 16.843
<0.001***
1.60±0.79a 11.682
<0.001***
1.72±0.88a 18.463
<0.001***
1.63±0.64a 10.486
<0.001***
1.08±0.14a 14.247
<0.001***
Satisfied 30 3.20±0.98 1.53±0.51a 1.70±0.58a 1.99±0.85ab 2.40±1.05abc 1.32±0.37ab
Normal 82 3.50±1.12 2.15±0.81ab 2.41±0.83ab 2.75±0.81bc 2.82±0.88bc 1.90±0.68bc
Unsatisfied 22 3.64±1.14 2.66±0.81b 2.73±0.83b 3.45±0.65c 3.39±1.35c 1.80±0.61b
Very Unsatisfied 4 3.00±1.15 3.88±1.30c 3.25±0.87b 1.70±0.35a 2.00±0.38ab 2.60±0.23c
Health status
Very good 68 3.32±1.16 1.668
0.160
1.85±0.83 4.781
0.001**
1.93±0.89a 7.121
<0.001***
2.41±1.07 1.783
0.135
2.47±1.24 1.712
0.150
1.42±0.43a 13.718
<0.001***
Good 56 3.45±1.13 1.98±0.79 2.27±0.76ab 2.51±0.83 2.63±0.85 1.64±0.60ab
Normal 22 3.64±1.00 2.70±1.21 2.77±0.83ab 2.75±0.98 2.97±0.98 2.25±0.71abc
Poor 10 4.10±0.84 2.45±0.42 2.80±0.71ab 3.16±0.70 3.20±1.01 2.36±0.94bc
Very Poor 2 4.50±0.00 1.75±0.00 3.50±0.00b 3.00±0.00 3.00±0.00 2.60±0.00c
Human relationship
Very good 58 3.50±1.24b 2.792
0.042*
1.84±0.88 3.142
0.027*
1.79±0.94a 14.787
<0.001***
2.26±1.11 4.546
0.004**
2.40±1.26 1.989
0.118
1.28±0.52ab 5.405
0.027*
Good 64 3.39±1.02b 2.10±0.86 2.31±0.65a 2.55±0.75 2.73±0.85 1.50±0.62ab
Normal 34 3.71±0.99b 2.37±0.93 2.76±0.74a 2.98±0.92 2.88±1.07 1.59±0.61ab
Poor 2 1.50±0.00a 1.25±0.00 4.00±0.00b 3.20±0.00 3.33±0.00 2.00±0.00b
Very Poor - - - - - -
Practice institution
Optical shop 105 3.50±1.10 0.088
0.916
2.02±0.83 2.014
0.137
2.18±0.90 1.783
0.172
2.54±0.97 0.218
0.804
2.64±1.06ab 3.526
0.032*
1.64±0.68 1.012
0.366
Eye clinic 26 3.40±1.18 2.36±1.23 2.54±0.89 2.65±1.09 3.06±1.13b 1.84±0.67
Optical shop &
Eye clinic
27 3.44±1.15 1.89±0.74 2.19±0.80 2.47±0.82 2.30±0.94a 1.73±0.55
Daily stress: stress by BEPSI-K
SD; standard deviation
a,bThe same subgroup by Scheffe test
p-value calculated using independent t-test or one-way ANOVA: *p<0.05, **p<0.01, ***p<0.001

실습만족도에 따른 임상지도자요인,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 가치·이상요인, 역할 및 업무요인, 일상적 스트레스요인은 실습에 불만족인 학생일수록 스트레스 요인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1). 선행연구에서 평상시의 대인관계와 임상실습 만족도가 유의성이 없다는 결과와는 상반되는데[22] 본 연구는 임상실습 시 다른 근무자와의 대인관계에 대한 조사로 임상실습과정 중의 대인관계가 원만할수록 높은 실습 만족도를 보인다고 한 Chang과 Song[23]의 연구 결과와는 일치하였다. 또한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실습 만족도가 불만족일수록 일상스트레스 요인이 높은 것으로 조사된 Yoo와 Kim[24]의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 결과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일상 스트레스는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임상실습 교육의 성과에 긍정적 결과를 이끌어 낼 수도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건강상태에 따른 임상지도자요인(p=0.001),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p<0.001), 일상적 스트레스요인(p<0.001)은 건강상태의 정도가 좋지 않을수록 스트레스를 더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가 나쁜 학생이 건강상태가 보통이거나 매우 좋은 학생보다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난 Yang과 Moon[20]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임상실습에 앞서 학생들의 건강상태 확인과 함께 건강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지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대인관계는 ‘매우 좋지 않다’의 대상자가 없고 ‘좋지 않다’의 대상자가 2명으로 다른 군에 비해 분포가 떨어져 비교를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어 이를 제외하고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에 따른 스트레스는 ‘보통’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인관계가 ‘보통’일 때 실습환경요인(p<0.05), 임상지도자요인(p<0.05),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 요인(p<0.001), 가치·이상요인(p<0.01)은 대인관계가 원만할수록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Hwang[13]은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대인관계 및 일의 수행에 있어서 열등감이 지속될 때 스트레스 반응이 커진다고 보고하였다. 평상시 대인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실습환경요인과 역할 및 실습활동요인의 스트레스가 커진다고 보고한 Baek 등[3]의 연구와 실습환경요인과 임상지도자요인,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 가치·이상요인에서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와 부분적으로 유사하나 ‘매우 좋지 않다’와 ‘좋지 않다’의 분포가 적어 표본수를 확대한 반복 연구를 통해 명확한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일상적 스트레스도 대인관계가 ‘보통’일 때 스트레스가 높게 조사되었다(p<0.05). 결과적으로 임상실습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평상시 원활한 대인관계 형성과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이나 훈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실습기관에 따른 역할 및 업무요인은 ‘안과병의원’ 3.06±1.13, ‘안경원’ 2.64±1.06, ‘안경원 및 안과병의원’ 2.30±0.94의 순으로 나타나 실습기관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그 외 다른 실습스트레스 요인에 대해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아직까지 안경광학을 전공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실습기관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 분석에 대한 선행 연구가 없어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타 보건계열인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습기관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 중 실습환경, 실습 중 대인관계, 일상 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Yoo와 Kim[24]의 연구와는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간호학생이 임상실습장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중에서 역할 및 활동 영역이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한 Cho[26]의 연구와는 일치하였다.

역할 및 업무요인에 따른 스트레스를 안경원보다 안과 병의원에서 더 많이 받는 것은 간호조무사 및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 협약이 원활하지 않아 업무 구분이 불분명하고, 안경원 실무 위주로 이루어지는 교내 실습 교육과 달리 안과병의원 실습에 대한 현장 실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원인도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Shin 등[9]의 연구에서 안경광학과 졸업생 다수의 취업이 안과병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안경원 뿐만 아니라 안과병의원에서의 임상실습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과를 근거로 학교와 실습 지도자는 주기적인 만남을 통해 현장중심의 문제 해결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과 운영의 체계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5. 스트레스 요인간의 상관관계

임상실습만족도와 스트레스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임상실습만족도와 임상지도자 요인(r = −0.582, p<0.01), 임상실습만족도와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r = −0.522, p<0.01), 임상지도자요인과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r = 0.410, p<0.01),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과 가치·이상요인(r = 0.421, p<0.01), 가치·이상요인과 역할 및 업무요인(r = 0.629, p<0.01), 임상실습만족도와 일상 스트레스(r = −0.475, p<0.01) 간에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임상실습만족도와 가치·이상요인(r = −0.398, p<0.01), 임상실습만족도와 역할 및 업무요인(r = −0.334, p<0.01), 임상지도자요인과 가치·이상요인(r = 0.223, p<0.01), 임상지도자요인과 역할 및 업무요인(r = 0.301, p<0.01), 임상지도자요인과 일상 스트레스(r = 0.349, p<0.01),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과 역할 및 업무요인(r = 0.385, p<0.01),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 요인과 일상 스트레스(r = 0.318, p<0.01), 가치·이상요인과일상 스트레스(r = 0.265, p<0.01), 역할 및 업무요인과 일상 스트레스(r = 0.261, p<0.01) 간에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Baek 등[3]의 연구에서 임상지도자요인과 가치와 이상 분야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결과와 일치하였다(P<0.05). 그리고 환경요인을 제외한 다른 스트레스 요인에서 모두 유의성을 보인 Yoo와 Kim[24]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났다(p<0.01).

결과적으로 스트레스가 높으면 임상실습에 만족도는 낮아질 수밖에 없으므로 실습의 만족도를 높여 임상실습에 대한 스트레스를 낮추어야 한다.

Table 5. 
Correlation among stressors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Practice
environmental
Practice
instructor
Relationship with
other worker
Value·ideal Practice role Daily stress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s 1
Practice environmental 0.019 1
Practice instructor −0.582** 0.138 1
Relationship with other worker −0.522** 0.055 0.410** 1
Value·ideal −0.398** −0.064 0.223** 0.421** 1
Practice role −0.334** −0.023 0.301** 0.385** 0.629** 1
Daily stress −0.475** 0.175* 0.349** 0.318** 0.265** 0.261** 1
Daily stress: stress by BEPSI-K
*p<0.05, **p<0.01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6. BEPSI-K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

일상적 스트레스(BEPSI-K)를 종속변수로 실습환경요인, 임상지도자요인,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 가치·이상요인, 역할 및 업무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유의하였다(F = 7.541, p7lt;0.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9.9%였으며, 일상적 스트레스(BEPSI-K)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임상지도자(β = 0.225)와 실습환경(β = 0.146)이었다. 즉, 임상지도자에 의한 스트레스가 가장 많고 실습환경요인에 의한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일상적 스트레스(BEPSI-K)지수가 높아지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Table 6. 
Factors influencing on daily stress (BEPSI-K)
BEPSI-K
B SE β t p-value
Practice environmental 0.087 0.044 0.146 1.985 0.049
Practice instructor 0.165 0.060 0.225 2.753 0.007
Relationship with other worker 0.105 0.065 0.141 1.630 0.105
Value·ideal 0.086 0.067 0.126 1.296 0.197
Practice role 0.039 0.059 0.064 0.662 0.509
R2=0.199, adjusted R2=0.172, F=7.541(p<0.001)
SE: standard error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Yoo와 Kim[24]의 연구에서 일상적 스트레스(BEPSI-K)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β = 0.325)로 나타나 본 연구와는 다른 경향을 보였고, 임상지도자의 평가 및 지도 방법이 학생들의 스트레스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 Kim과 Shin[5]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향후 임상지도자와 실습 환경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요인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학생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임상실습 운영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결 론

이 연구는 안경광학과 전공 학생들의 일상적 스트레스(BEPSI-K) 수준과 임상실습 교육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 및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방안을 마련하고 학생들이 임상실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대구지역 안경광학과 학생 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안경광학 전공학생들의 일상적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1.69±0.66으로 나타났으며, 일상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별 변화는 가치·이상요인을 제외한 실습환경요인, 임상지도자요인, 역할 및 업무요인에서 일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다른 근무자의 관계요인과 일상 스트레스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만족도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임상지도자요인,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 가치·이상요인, 역할 및 업무요인에서 실습에 불만족 한 학생들에서 스트레스 요인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강상태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과 일상 스트레스에서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스트레스 요인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인관계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역할 및 업무요인을 제외한 실습환경요인, 임상지도자요인,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 가치·이상요인과 일상 스트레스에서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않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기관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역할 및 업무요인에서 안과병의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습기관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스트레스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임상실습만족도와 임상지도자요인, 임상실습만족도와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 임상지도자요인과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 다른 근무자와의 관계요인과 가치·이상요인, 가치·이상요인과 역할 및 업무요인, 임상실습만족도와 일상 스트레스 간에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임상지도자에 의한 스트레스가 가장 많고, 실습환경요인에 의한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일상적 스트레스가 높아지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일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경사의 역할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이나 훈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원활한 임상실습 운영을 위해 실습기관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What i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2015), http://www.ncs.go.kr/ncs/page.do?sk=P1A1_PG01_004(10 July 2017).
2. Lee, YA, Kim, YS,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and the performance confidence, J Dent Hyg Sci, (2008), 8(4), p353-359.
3. Baek, CM, Chae, SI, Kim, JK, Characteristic of stress according to student clinical training in department of radiology, J Korean Soc Radiol, (2012), 6(4), p291-298.
4. Jang, SU, Kwon, SB, Yang, SK, A study on the stressors of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 hygienists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by medical center type, J Dent Hyg Sci, (2012), 12(6), p682-688.
5. Kim, SY, Shin, MS, A study of the stress encountered in clinical practice by students majoring in speech-language pathology, J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017), 26(2), p113-127.
6. Hong, SM, Han, JH, Kim, HK, Ahn, YS, A study of the stress clinical practice, stress coping and somatization for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2009), 9(2), p219-224.
7. Lee, HS, Kim, EJ, The comparison of stress coping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ccording to the grade of nursing college student, J East-West Nurs Res, (2008), 14(1), p5-13.
8. Lee, OJ, Shin, JA, Jung, SH,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in ophthalmic optic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0), 15(4), p319-328.
9. Shin, JA, Jung, SH, Lee, OJ,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needs of clinical practice in ophthalmic optics for students and optical shop owner,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 17(4), p353-363.
10. Lee, OJ, Jung, SH, Shin, JA,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and optical shop owner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 16(4), p363-373.
11. Yim, JH, Bae, JM, Choi, SS, Kim, SW, Hwang, HS, Huh, BY, The validity of modified Korean-translated BEPSI(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as instrument of stress measurement in outpatient clinic, Korean J Fam Med, (1996), 17(1), p42-49.
12. Kim, JH,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practice stress and stress coping of nursing students in Korea, J Digital Convergence, (2014), 12(2), p409-415.
13. Hwang, SH, A study on the stressors experienced during clinical practi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Mater Thesis, Dankook university, Dankook universit, (2004), p38-43.
14. Park, MA, Self-leadership, stress on clinical practice, and stress coping styles in nursing students, Ma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09), p36-38.
15. Jang, MH, Kim, JH, Influencing factors on attitude,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J Korean Soc of Dent Hyg, (2014), 14(3), p407-415.
16. Baek, CM, A study of the stress according to clinical training in department of radiology, Mater Thesis, Hanseo University, Chungnam, (2012), p15-16.
17. Kim, HJ, Stresses and its factors due to clinical demonstration in college students of dental hygiene, Ma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08), p7-12.
18. Chon, KK, Emotion and health: Cultural approach, Korean J Psychol Soc Issues, (2000), 6(3), p175-199.
19. Shim, HS, Lee, HN, Stress and coping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J Korean Soc Dent Hyg, (2014), 14(2), p139-145.
20. Jung, Y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teacher’s gender-role identity and job stress, Mater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2005), p35-36.
21. Park, BS, Stress and satisfaction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by sex role identity among nursing students, Mater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2009), p39-40.
22. Kim, HJ, A survey study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al training for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J Kor Phys Ther, (1998), 10(1), p173-179.
23. Chang, BC, Song, KH, A study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for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Hygienic Sciences, (2005), 11(1), p81-90.
24. Yoo, JH, Kim, JH,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stress factors of clinical practice for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2016), 16(1), p62-69.
25. Yang, NY, Moon, SY,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Nurs Admin, (2011), 17(2), p216-225.
26. Cho, SH, A study of stress of nursing students in a clinical practice site, Cheongam College Collection of dissertations, (1988), 12, p309-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