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Current Issue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Vol. 28 , No. 4

[ Article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Vol. 28, No. 4, pp. 365-371
Abbreviation: J Korean Ophthalmic Opt Soc
ISSN: 1226-5012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3
Received 24 Nov 2023 Revised 08 Dec 2023 Accepted 12 Dec 2023
DOI: https://doi.org/10.14479/jkoos.2023.28.4.365

광변색렌즈의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조윤실*
신한대학교 빅데이터경영학과, 교수, 의정부 11644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Photochromic Lens
Yun-Sil Cho*
Dept. of Bigdata Management, Shinhan University, Professor, Uijeongbu 11644, Korea
Correspondence to : *Yun-Sil Cho, TEL:+82-31-870-3552, E-mail: joyful@shinhan.ac.kr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광변색렌즈의 수용모델을 제안하고, 수용요인이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광변색렌즈의 수용과 확산을 모색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적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광변색렌즈의 수용변인을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으로 구성하였고, 각 변인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안경원을 이용하는 성인 남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수집하였다.

결과

광변색렌즈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유희성 역시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광변색렌즈의 수용과 확산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기능적 측면 뿐 아니라 정서적 측면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Purpos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technology-acceptance model of photochromic lense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acceptance factors on the customers’intention to use them. Our aim was to derive a strategy for marketing to facilitate acceptance and use of photochromic lenses.

Methods

Photochromic-lens acceptance factors comprise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and their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them were tes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dult men and women visiting the optometrist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survey.

Results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of photochromic lense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ing factors on the intention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also prove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use.

Conclusions

For acceptance and use of the photochromic lens, not only a functional but also an emotional marketing approach may be necessary.


Keywords: Photochromic len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키워드: 광변색렌즈, 기술수용모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

서 론

광변색렌즈는 자외선 및 단파장의 가시광선 분포가 많은 야외에서는 선글라스처럼 렌즈 색상의 농도가 짙어지고, 적외선과 장파장의 가시광선 분포가 많은 실내에서는 색상 농도가 옅어지면서 투명하게 변하는 렌즈이다.[1] 초기의 광변색렌즈는 변색과 퇴색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최근에는 제조사들의 기술력 향상으로 변색속도와 퇴색속도가 빠르게 개선되고, 실내투명도가 높아지는 등 소비자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2]

시력교정으로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에 광변색렌즈는 야외활동에서 선글라스로 교체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시켜 줄 뿐만아니라, 자외선 노출로 유발될 수 있는 황반변성, 백내장 등의 예방[3,4] 및 눈부심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력장애를 저하시켜 시력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등 눈 건강에도 효과적이다.[1]

그러나 광변색렌즈의 이러한 편리성과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소비자들은 기존의 일반렌즈를 더 선호하며 광변색렌즈의 수용을 미루거나 거부하고 있는 측면이 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새로운 기술의 지각된 위험이나 유지해오던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 경험하지 않은 새로운 제품의 수용을 미루거나 거부하는 경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5] 따라서, 광변색렌즈의 확산을 위해서는 기술의 발전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광변색렌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용과 사용행동을 이해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광변색렌즈의 수용모델을 제안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술에 대한 수용을 설명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기술수용모델을 광변색렌즈에 적용하여 소비자들의 사용의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용과 사용행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모형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확장되어 왔다.[6-9] 초기에는 정보통신분야의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 행동을 설명하고자 제안되었으나, 이후 의료기기, 전자제품, 핀테크, 배달앱 등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의 수용에 적용되어 확장되어왔기에 광변색렌즈의 기술수용에도 적용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10-14]

따라서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광변색렌즈의 수용모델을 제안하고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광변색렌즈의 수용과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마케팅전략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1)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기술수용모델은 새로운 기술을 소비자들이 왜 수용하거나 거부하는지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모형으로서, Davis[15]에 의해 제시된 이론이다. Davis는 기술수용과정에서 중요한 신념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제안하였는데,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자가 새로운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능률이 상승할 것이라고 믿는 정도라고 하였고, 지각된 용이성은 새로운 기술을 사용할 때 어려움 없이 이용가능할 것이라고 믿는 정도라고 하였다. 이러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초기 기술수용모델은 조직구성원들의 기술수용을 규명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나 일반사용자에게 확대되었고 그 대상 역시 정보기술 뿐 아니라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로 확장되었다. 또한, 기술수용모델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를 추가하거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외에 새로운 신념을 추가하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제안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에서 추가하는 신념변인으로 대표적인 것은 지각된 유희성이 있다.[16-19] 지각된 유희성이란, 기술을 사용하게 되면서 얻는 결과와 상관없이 그 기술을 사용하는 자체로 즐거움을 인지하는 정도를 의미한다.[20] 즉, 지각된 유희성은 기능적 측면 이외에 정서적 측면에서 만족감을 주는 요인으로, 인지된 즐거움은 기술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설명되고 있다.[21]

Song과 Kim[10]은 기술수용요인을 성과기대, 노력기대, 촉진조건, 인지된위험, 사회적영향으로 제안하고, 의료기기에 대한 기술수용은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수용의도는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Heo와 Jung[11]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의료신기술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Ahn[22]은 지각 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IPTV광고의 수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Ryu와 Kim[12]은 전자제품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편의성은 제품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유용성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Zhang 등[23]은 공공의료서비스에 대한 즐거움은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가치는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Kim과 Yoon[16]은 호텔 예약 어플리케이션의 인지된 즐거움은 재구매의도에 긍적적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근거로, 광변색렌즈의 수용변인을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으로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광변색렌즈의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광변색렌즈의 지각된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광변색렌즈의 지각된 유희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연구방법
1) 연구모형

광변색렌즈의 수용모델을 제안하여 수용요인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광변색렌즈의 수용변인을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으로 설정하였고, 각 변인이 광변색렌즈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2) 구성개념의 정의 및 측정

설문문항은 선행연구(Venkatesh & Davis[24], Ryu & Kim[12], Heo & Jung[11], Venkatesh[25], Kang SB[26], Jeong BO[27]를 참고하였고,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지각된 유용성 4문항, 지각된 용이성 4문항, 지각된 유희성 3문항, 사용의도 3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문문항은 Table 1과 같다. 모든 항목은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Table 1. 
Concepts and measured items
Concept Items Number of items Reference
Perceived usefulness Good for eye health
Convenient
Economical
Quality of live improvement
4 Venkatesh & Davis (2000)
Ryu & Kim (2012)
Perceived ease of use, Easy and simple to use
Easily understand its need
Easily become familiar
No difficulty in use
4 Venkatesh & Davis (2000)
Heo & Jung (2018)
Perceived enjoyment Fun
Attractive
Interesting
3 Venkatesh (2000)
Kang SB (2021)
Use intention Will use
Will consistently use
Recommend to others
3 Venkatesh & Davis (2000)
Jeong BO (2016)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안경원을 이용하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2023년 5월 25일~6월 5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에게 광변색렌즈의 특성을 설명하고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설문지 181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하고 총 175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18과 AMOS 18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 타당성, 요인분석,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빈도 분석 결과, 표본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2와 같다. 응답자의 성별은 남성 93명(53.1%), 여성 82명(46.9%)로 나타났고, 연령은 20대가 88명(50.3%), 30대가 33명(18.8%), 40대가 36명(20.6%), 50대 이상이 18명(10.3%)으로 나타났다.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Frequency Percent (%)
Gender Male 93 53.1
Female 82 46.9
Age 20-29 (yrs.) 88 50.3
30-39 (yrs.) 33 18.8
40-49 (yrs.) 36 20.6
50 (yrs.) over 18 10.3

2.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 적재량이 모두 0.5 이상으로 조건을 충족하였고, 평균분산추출(AVE)값도 모두 0.5 이상으로 집중타당성이 확보되었다. Cronbach’s α와 합성 신뢰도(CR)는 각각 0.801 과 0.862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Table 3.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actor Items Factor loading Composite reliability AVE Cronbach’s α
Perceived
usefulness
USE1 0.815 0.886 0.681 0.839
USE2 0.904
USE3 0.837
USE4 0.701
Perceived
ease of use
EAS1 0.838 0.917 0.686 0.884
EAS2 0.761
EAS3 0.817
EAS4 0.842
Perceived
enjoyment
ENJ1 0.732 0.862 0.583 0.801
ENJ2 0.716
ENJ3 0.709
Use intention INT1 0.914 0.938 0.795 0.919
INT2 0.908
INT3 0.876

3. 가설검증

광변색렌즈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과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측정모형에 대한 적합성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GFI와 AGFI가 0.882와 0.837로 나타났으나, 일반적으로 0.8 이상이면 수용가능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모형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28] 가설검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광변색렌즈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가설 1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고, 광변색렌즈의 지각된 용이성과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가설 2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됨으로써, 선행연구들[10-12,15,22,]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광변색렌즈의 지각된 유희성과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가설 3 역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으며, 선행연구들[16,23]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Table 4. 
Verification of suitability of structural model
Goodness of fit Recommendation index Measurement number
χ2/df 2.0 이하 1.913
GFI 0.9 이상 0.882
AGFI 0.9 이상 0.837
CFI 0.9 이상 0.931
NFI 0.9 이상 0.906
RMSEA 0.08 이하 0.065
GFI: Goodness-of-Fit Index, AGFI: Adjusted Goodness-of-Fit Index, CFI: Comparative-Fit Index, NFI: Normed-Fit Index, RMSEA: Root-Mean-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Table 5. 
Hypothesis-testing results
Hypothesis Path Path coefficient C.R. Verification result
Hypothesis 1 Perceived usefulness → Use intention 0.235 4.183*** Accept
Hypothesis 2 Perceived ease of use → Use intention 0.318 5.347*** Accept
Hypothesis 3 Perceived enjoyment → Use intention 0.203 3.314*** Accept
***: p<0.001


결 론

본 연구는 광변색렌즈의 수용 및 확산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광변색렌즈의 수용모델을 제안하고, 소비자의 사용의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광변색렌즈의 수용변인을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으로 제시하였고, 각 변인들이 광변색렌즈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검증결과, 광변색렌즈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나 광변색렌즈의 기술수용모델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즉, 광변색렌즈의 사용이 눈건강과 생활에 도움이 될것이라고 인지할수록 소비자의 사용의도는 높아지게 된다. 또한, 광변색렌즈의 지각된 유희성 역시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희성은 기능적 측면 이외에 정서적 측면에서 만족감을 주는 요인으로, 이는 광변색렌즈의 기능적 측면도 중요하지만 미적 영역을 포함한 정서적 측면이 광변색렌즈의 사용의도에 주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광변색렌즈는 다양한 색상, 변색 및 탈색 속도, 실내에서의 투명도 등의 개선으로 사용자에게 미적 즐거움과 정서적 만족감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즉, 눈 건강과 생활의 편리함 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트렌디하고 개성있게 만들어 주는 제품으로 어필하여 착용의 즐거움을 전달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술적 측면에 집중되었던 기존 광변색렌즈의 연구들과 달리 소비자 행동의도를 분석함으로써, 마케팅전략의 시사점을 마련했다는 점에 있다. 그 과정에서 광변색렌즈의 수용모델을 제안하였으며, 광변색렌즈의 수용과 확산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기능적 측면 뿐 아니라 정서적 측면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및 광변색렌즈의 경험유무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존재하는 바, 향후 연구에서 이러한 부분을 반영하여 분석한다면 더 의미있는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Lim SH, Cho MS, Kim JS. Evaluation of clinical usability and effects of photochromic lenses.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9):1563-1568.
2. Yu DS, Cho HG, Moon BY. Evaluation of fading rate of photochromic lenses in domestic market. J of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7;22(1):23-31.
3. Zuclich JA. Ultraviolet-induced photochemical damage in ocular tissues. Health Phys. 1989;56(5):671-682.
4. Johar SRK, Rawal UM, Jain NK, et al. Sequential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histomorphology, cell density and antioxidative status of the lens epithelium: an in vivo study. Photochem Photobiol. 2003;78(3):306-311.
5. Sheth J. Psychology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ess developed concept(LDC) in diffusion research, 1981. https://www.jagsheth.com/marketing-research/psychology-of-innovation-resistance-the-less-developed-concept-ldc-in-diffusion-research/(21 December 2023).
6. Taylor S, Todd PA.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 Syst Res. 1995;6(2): 144-176.
7. Featherman MS, Pavlou PA. Predicting e-services adoption: a perceived risk facets perspective. Int J Hum Comput Stud. 2003;59(4):451-474.
8. Venkatesh V, Morris MG, Davis GB, et al.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003;27(3):425-478.
9. Lin CH, Shih HY, Sher PJ. Integrating technology readiness into technology acceptance: the TRAM model. Psychol Mark. 2007;24(7):641-657.
10. Song BC, Kim WM. How the technological acceptance factors influence the user's acceptance and behavioral intentions using the unified technology theory of acceptance: case of Korean medical device products.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2018;1(54):49-62.
11. Heo EJ, Jung MS. A study on nurses’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 4th industry-based new medical industry: focusing on the expanded TAM.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2018;33(6):365-385.
12. Ryu YJ, Kim J. Extens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electronics product: focusing on perceived product innovateness and perceived risk.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2012;13(3):365-402.
13. Um SR, Shin HR, Kim YS.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acceptance: focusing on fintech in high-end technology. J Digit Converg. 2020;18(2):57-71.
14. Oh SH, Kang MJ. The study on the transition to the trust on the delivery company from the trust on the delivery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Journal of Business Convergence. 2023;8(1):115-122.
15. Davis F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989;13(3):319-340.
16. Kim YR, Yoon JH. The effects of hotel-booking apps’use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enjoyment, and repurchase intention. Int J Tour Hosp Res. 2021;35(5): 191-202.
17. Liu C, Arnett KP. Explor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eb site success in the context of electronic commerce. Inf Manag. 2000;38(1):23-33.
18. Van der Heijden H. User acceptance of hedonic information systems. MIS Quarterly. 2004;28(4):695-704.
19. Jang S, Choi JY. Understanding acceptance of cloud computing service: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considering enjoyment, risks and consumer attitudes. Innovation Studies. 2020;15(4):307-338.
20. Shiau WL, Luo MM. Continuance intention of blog users: the impact of perceived enjoyment, habit, user involvement and blogging time. Behav Inf Technol. 2013;32(6): 570-583.
21. Chang SB.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r experience(UX) on the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immersion, and reuse intention.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2018;16(4):105-114.
22. Ahn D.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into the drivers of intentions to adopt IPTV advertising based on a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2011;7(3):27-52.
23. Zhang M, Song YW, Kim JD. A study on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ded use of shared medical service in china. Journal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 2021;8(2):5-30.
24. Venkatesh V, Davis FD.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 Sci. 2000;46(2):186-204.
25. Venkatesh V. Determinants of perceived ease of use: integrating control,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 Syst Res. 2000;11(4): 342-365.
26. Kang SB.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age intention of the metaverse in the digital convergence age.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arch. 2021;21(6):171-188.
27. Jeong BO.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on intention to use tourism application: moderating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t J Tour Hosp Res. 2016;30(1):101-121.
28. Kim G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st Ed. Seoul: Hannarae, 2013;374-378




Appendix

설문지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지는 광변색렌즈에 대한 소비자의 사용의도를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응답하신 내용에 대
한 개인의 비밀은 보장되며, 연구 목적 이외에는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설문에 응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신한대학교 빅데이터경영학과 조윤실 교수 e-mail: joyful@shinhan.ac.kr


광변색렌즈란
자외선에 노출되는 야외에서는 렌즈 색상이 선글라스처럼 짙어지고, 실내에서는 일반 렌즈처럼 투명하게 변하는 렌즈입니다.


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
⓵ 남자   ⓶ 여자

2. 귀하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
⓵ 20대   ⓶ 30대   ⓷ 40대   ⓸50대 이상



광변색렌즈에 대한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깝다고 느끼는 곳에 Ⅴ표를 해주십시오.
설문항목 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3. 광변색렌즈의 착용은 눈 건강에 좋다고 생각한다.
4. 광변색렌즈는 편리하다.
5. 광변색렌즈는 경제적이다.
6. 광변색렌즈의 착용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7. 광변색렌즈는 사용이 쉽고 간편하다.
8. 광변색렌즈의 필요성이 쉽게 이해된다.
9. 광변색렌즈는 쉽게 익숙해질 것이다.
10. 광변색렌즈의 사용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11. 광변색렌즈의 착용은 즐거움을 줄 것이다.
12. 광변색렌즈는 매력적이다.
13. 광변색렌즈는 흥미롭다.



앞으로 안경을 착용하실 때 광변색렌즈를 사용하고 싶으십니까? 가장 가깝다고 생각하시는 곳에 Ⅴ표를 해주십시오
설문항목 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4. 나는 앞으로 광변색렌즈를 사용할 것이다.
15. 나는 앞으로 광변색렌즈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것 같다.
16. 나는 광변색렌즈를 주변에 추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