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HOME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Vol. 24 , No. 4

[ Article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Vol. 24, No. 4, pp. 367-373
Abbreviation: J Korean Ophthalmic Opt Soc
ISSN: 1226-5012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9
Received 07 Nov 2019 Revised 19 Nov 2019 Accepted 20 Nov 2019
DOI: https://doi.org/10.14479/jkoos.2019.24.4.367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기대감에 관한 연구
이옥진*
동남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수원 16328

A Study on the Expectations of Clinical Practice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Ok-Jin Lee*
Dept. of Optometry & Vision Science, Dongnam Health University, Professor, Suwon 16328, Korea
Correspondence to : *Ok-Jin Lee, TEL: +82-31-249-6512, E-mail: leeoj@dongnam.ac.kr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목적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기대감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 운영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안경광학과 재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분석을 하였다.

결과

임상실습 기대감은 평균 3.76 ± 0.63이었고 학교 관련 기대감이 가장 낮았다(3.60 ± 0.62). 학년이 높아질수록 기대감은 감소하였으며(p = 0.000) 안과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의 기대감이 높았다(p<0.05). 개방성 성격의 학생들의 일반적 기대감과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이 높았다(p<0.05).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이 높을수록 일반적 기대감이 높았다. 임상실습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기대감은 감소하였다.

결론

학생들의 임상실습 기대감을 임상실습에 반영하고 기대감이 낮은 원인을 개선하려는 학계와 산업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Purpose

To investigate opthalmic optics students’ expectations of clinical practice and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clinical practice management.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19 students and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The expectations of clinical practice had an average score of 3.76 ± 0.63, with the lowest being school related expectations (3.60 ± 0.62). Expectations decreased with higher student grades (p = 0.000) and higher expectations for students interested in ophthalmology (p<0.05). The general expectation and expectations related to practice institutions were high amongst open-minded students (p<0.05). The higher the expectations related to training institutions, the higher the general expectations. The main factor influencing expectations of clinical practice was student grades and these expectations decreased with higher grades.

Conclusions

Expectations of students’ clinical practice should be reflected in the clinical practice and academic and industry efforts are needed to address the reasons that lead to low expectations.


Keywords: Expectation of clinical practice, Ophthalmic optics students, Grades
키워드: 임상실습 기대감, 안경광학과 학생, 학년

서 론

2019년 전국 안경 및 콘택트렌즈 사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전국 성인의 55.4%와 초·중·고생의 약 41%가 안경 및 콘택트렌즈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1] 시력교정을 담당하고 있는 안경사의 직무 중요성과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 안경사 양성을 책임지고 있는 대학의 안경광학과는 직무능력을 갖춘 안경사 양성을 위해 이론교육 및 실습교육, 직업기초교육 등으로 구성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현장중심교육을 통한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임상실습(또는 현장실습)을 정규 교과목 또는 비정규 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다.[2] 안경광학과 학생과 산업체 대상의 연구에서 임상실습의 중요도와 필요도가 높게 조사된 결과[3]는 임상실습이 안경사 직무능력 함양에 필수적인 프로그램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학생과 산업체 대상의 연구에서 두 집단 모두 실습교육과 임상실습의 유용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2] 실습교육과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이론교육보다 낮게 조사된 것[4,5]은 현장중심교육과 임상실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효율적인 실습교육과 임상실습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함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임상실습의 강화와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다방면의 연구와 운영이 필요한 실정이다.

보건계열 학과에서는 임상실습의 만족도와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6-9]와 임상실습에 임하는 학생들의 태도 및 실습 전 선입견, 기대감에 관한 연구,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10-11] 등 임상실습에 관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안경광학과도 임상실습 중요성의 증대에 따라 임상실습 실태에 관한 연구,[12] 임상실습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4] 임상실습의 직무 적절성과 일의 요소에 관한 연구[13] 등이 수행되었다. 최근에 임상실습과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14]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연구,[15]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관계에 관한 연구[16]와 같이 임상실습 과정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임상실습의 주체인 학생들의 입장을 고려하여 임상실습의 효율성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바람직한 시도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이상의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이후의 시점에서 연구되었고 임상실습 경험 전 학생들의 사고와 기대감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하기 전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기대감을 알아보고 자료를 축적함으로써 효율적인 임상실습 운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

경기도 소재 3년제 안경광학과 재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방법

임상실습을 앞둔 경기도 소재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10일까지 임상실습 기대감에 관한 설문을 자기기입식으로 조사하고 수거된 219부를 통계분석 하였다. 설문지는 인적사항 7문항, 임상실습 기대감 13문항 등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임살실습 기대감 문항(일반적 기대감-7문항, 학교 관련 기대감-3문항,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3문항)은 리커트 5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로 구성하였다.

임살실습 기대감은 점수가 높을수록 기대감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 신뢰도는 일반적 기대감 Cronbach's α=0.934, 학교 관련 기대감 Cronbach's α=0.611,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 Cronbach's α=0.876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PASW statistic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조사된 자료의 특성에 따라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퍼센트로, 임상실습 기대 수준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기대수준은 t-test와 one-way ANOVA를 시행하고, 분산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Duncan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정하였다. 기대수준 영역 간 상관성은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임상실습 기대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단계적 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유의성 판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학생 40.2%(88명), 여학생 59.8%(131명)이고 학년은 1학년 36.5%(80명), 2학년 30.6%(67명), 3학년 32.9%(72명)이었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phthalmic optics students (N=128)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s N (%)
Gender Male
Female
88 (40.2)
131 (59.8)
Grade 1
2
3
80 (36.5)
67 (30.6)
72 (32.9)
Desired working place Optical shop
Eye clinic
Contact lens company
Others
113 (51.6)
63 (28.8)
27 (12.3)
16 (7.3)
Subject of interest Spectacle related
Optics
Ophthalmology
Optometry related
Contact lens
Others
65 (29.7)
25 (11.4)
43 (19.6)
70 (32.0)
13 (5.9)
3 (1.4)
Optometrist family present Yes
No
55 (25.1)
164 (74.9)
Desired startup of optical shop Yes
No
145 (66.2)
74 (33.8)
Personality type 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greeableness
Neuroticism
33 (15.1)
43 (19.6)
49 (22.4)
58 (26.5)
36 (16.4)
Total 219 (100.0)

취업을 희망하는 곳은 안경원 51.6%(113명), 안과 병·의원 28.8%(63명), 콘택트렌즈 회사12.3%(27명), 기타 7.3%(16명)이었다.

관심이 있는 교과목 분야는 안경학 29.7%(65명), 안광학 11.4%(25명), 안과학 19.6%(43명), 검안학 32.0%(70명), 콘택트렌즈 5.9%(13명), 기타 1.4%(3명)이었다.

친인척 중 안경사가 있는 학생은 25.1%(55명), 없는 경우는 74.9%(164명)이었으며 안경원 창업을 희망하는 학생은 66.2%(145명), 희망하지 않는 학생은 33.8%(74명)이었다.

학생들의 성격유형은 개방성 15.1%(33명), 성실성 19.6%(43명), 외향성 22.4%(49명), 원만성 26.5%(58명), 정서적 민감성 16.4%(36명)이었다.

2. 임상실습 기대감

임상실습 기대감의 전체 평균은 3.76 ± 0.63으로 나타났는데 일반적 기대감이 평균 3.90 ± 0.6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 평균은 3.78 ± 0.75, 학교 관련 기대감 평균은 3.60 ± 0.62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Expectations of clinical practice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Item M ± SD*
General
expectation
Can understand the optometrist duties 3.97 ± 0.75
Job skill(dispensing, optometry, etc.) improvement 3.92 ± 0.81
Major satisfaction improvement 3.75 ± 0.86
Vocational basic skills improvement 3.95 ± 0.83
Optical shop management information acquisition 3.90 ± 0.80
Impact on career decision and job preparation 4.04 ± 0.80
Improving pride of optometrists 3.79 ± 0.86
Total 3.90 ± 0.69
School related
expectation
School education helps clinical practice 4.04 ± 0.83
No difference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2.87 ± 0.88
Support clinical practice and the professor will guide 3.91 ± 0.80
Total 3.60 ± 0.62
Practice
institutions
related
Receive systematic education from the optometrist of optical shop 3.77 ± 0.84
Build relationships 3.85 ± 0.77
Desired work part-time or get a job at an optometrist in optical shop 3.73 ± 0.90
Total 3.78 ± 0.75
Total 3.76 ± 0.63
* The highest score is 5 in a five-point Likert scale

1) 일반적 기대감

일반적 기대감 7문항에 대하여 ‘진로결정 및 취업준비 도움’에 대한 기대감이 4.04 ± 0.80으로 가장 높았고 ‘안경사 직무 파악’ 3.97 ± 0.75, ‘직업기초능력 향상’ 3.95 ± 0.83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 만족도 향상’에 대한 기대감은 3.75 ± 0.86로 가장 낮았다.

‘진로결정 및 취업준비 도움’과 ‘안경사 직무파악’에 대한 기대감이 높게 나타난 것은 임상실습의 중요도와 필요도에 관한 연구[3]에서 학생과 산업체 모두 임상실습이 안경사 직종에 대한 적성파악의 계기로 중요하다고 답한 것과 ‘안경사 직무이해’ 항목의 중요도가 높게 나온 결과와 마찬가지로 임상실습을 통해 안경사 직무 전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진로결정과 취업준비에 대한 자료를 얻고자 하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진로결정 및 취업준비 도움’에 대한 기대감은 기대감 전체 항목 중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므로 임상실습이 실제 학생들의 진로, 취업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임상실습이 기대감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안경사 직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

‘전공 만족도 향상’에 대한 기대감은 상대적으로 낮았는데 임상실습 후 ‘전공에 대한 자신감’이 상승했다는 학생들이 극히 적었던 연구 결과[12]와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으나 전공 만족도는 복합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므로 단정 짓기는 어렵다.

2) 학교 관련 기대감

학교 관련 기대감 3문항에 대하여 ‘학교교육이 임상실습에 도움’이 4.04 ± 0.83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학교지원과 지도교수의 순회지도’가 3.91 ± 0.80로 나타났다. ‘학교교육과 임상실습의 차이 없음’에 대한 기대감이 2.87 ± 0.88로 가장 낮았는데 기대감에 대한 전체 항목 중에서도 가장 낮았다.

학교교육이 임상실습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은 높았던 반면 학교교육과 임상실습 간의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낮게 나타난 것은 임상실습 경험 전에 이미 학교교육과 임상실습 내용의 불일치를 알고 있다는 결과로 해석된다.

치위생과 학생 대상의 Lee와 Kim[11]의 연구에 따르면 임상실습이 학교에서 습득한 이론 지식을 현장에 적용 또는 응용하는 필수 과정이라고 하였으나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의 적용’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결과와 마찬가지로 현재 안경광학과의 학교교육과 현장 직무 사이에는 여전히 차이가 존재하며 학생들도 이점을 인식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재학생들이 임상실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잃지 않도록 학교는 산업체와 협력하여 학교교육과 임상실습 내용의 일치와 보완을 위해 노력하고 이에 맞는 임상실습 표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3)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 3문항에 대하여 ‘인적관계 형성’이 3.85 ± 0.77로 가장 높았고 ‘현장 안경사에게 체계적 교육을 받음’에 대한 기대감이 3.77 ± 0.84로 나타났다. ‘해당 실습기관에서 향후 취업 또는 아르바이트’에 대한 기대감은 3.73 ± 0.90으로 가장 낮아 학생들은 해당 실습기관에 향후 취업을 하겠다는 기대보다는 임상실습 중 현장 안경사와의 유대관계를 통한 ‘인적관계 형성’을 하고 이들에게 체계적 지도를 받고 싶은 마음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Shin 등의 연구[3]에 의하면 실습생은 실습기관 원장과 직원들의 적극적인 지도가 중요하다고 답하였으며 Lee 등[13]은 안경원의 자세에 따라 실습생의 적극성과 일의 요소 수행 정도가 다르다고 하였다. 또한, 실습생이 임상실습에 관해서는 학교보다 실습기관에 더 만족하고 있다는 연구결과[4]도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모두 임상실습에 있어 실습기관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것이며 실습기관의 중요성은 보건계 타 직종에서도 나타났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경우에 현장 스텝과의 인간관계가 좋으면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았으며[8] 선배들의 역할을 보면서 전문직 정체성이 형성되었다고 하였다.[11] 실습기관과의 유대관계가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7]도 이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실습기관에서 체계적으로 지도해 주고 후배 안경사 양성에 직접 참여한다는 마음으로 인적관계를 형성해 준다면 학생들이 실습기관에 가지고 있는 기대감이 충족되고 나아가 임상실습 만족도가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기대감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기대감을 분석한 결과, 학년, 관심 교과목, 성격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 취업희망처, 친인척 중 안경사 유무, 창업 희망 여부에 따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3).

Table 3. 
Expectations of clinical practi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 Division General
expectation
School related
expectation
Practice institutions
related expectation
Total
Mean ± SD Mean ± SD Mean ± SD Mean ± SD
Gender Male 3.88 ± .74 3.60 ± .64 3.76 ± .76 3.75 ± .66
Female 3.91 ± .66 3.61 ± .61 3.79 ± .74 3.77 ± .62
t (p-value) −0.230 (0.819) −0.054 (0.957) −0.362 (0.718) −0.243 (0.808)
Grade 1 4.25 ± .55c 3.90 ± .54b 4.18 ± .61c 4.11 ± .52c
2 3.81 ± .63b 3.48 ± .59a 3.69 ± .67b 3.66 ± .58b
3 3.59 ± .72a 3.40 ± .61a 3.42 ± .76a 3.47 ± .62a
F (p-value) 21.402 (0.000*) 16.033 (0.000*) 24.312 (0.000*) 24.675 (0.000*)
Desired working
place
Optical shop 3.90 ± .65 3.58 ± .59 3.78 ± .70 3.75 ± .59
Eye clinic 3.95 ± .66 3.67 ± .55 3.88 ± .73 3.84 ± .60
Contact lens company 3.84 ± .50 3.61 ± .54 3.65 ± .59 3.70 ± .50
Others 3.76 ± 1.20 3.50 ± 1.09 3.58 ± 1.23 3.61 ± 1.14
F (p-value) 0.396 (0.756) 0.475 (0.700) 1.053 (0.370) 0.666 (0.574)
Subject of
interest
Spectacle related 3.92 ± .66b 3.63 ± .64 3.84 ± .71b 3.80 ± .63b
Optics 4.06 ± .60b 3.76 ± .61 3.82 ± .66b 3.88 ± .57b
Ophthalmology 4.07 ± .70b 3.70 ± .66 4.03 ± .76b 3.93 ± .66b
Optometry related 3.83 ± .65b 3.55 ± .53 3.65 ± .73b 3.67 ± .58b
Contact lens 3.49 ± .63ab 3.35 ± .31 3.46 ± .64ab 3.43 ± .39b
Others 3.00 ± 1.73a 2.77 ± 1.57 3.00 ± 1.73a 2.92 ± 1.67a
F (p-value) 3.029 (0.012*) 2.191 (0.056) 2.681 (0.023*) 2.951 (0.013*)
Optometrist
family present
Yes 3.76 ± .80 3.57 ± .74 3.64 ± .80 3.66 ± .74
No 3.95 ± .65 3.61 ± .57 3.82 ± .73 3.79 ± .59
F (p-value) −1.756 (0.081) −0.455 (0.650) −1.545 (0.124) −1.390 (0.166)
Desired startup
of optical shop
Yes 3.94 ± .65 3.65 ± .58 3.82 ± .71 3.80 ± .59
No 3.82 ± .75 3.51 ± .67 3.71 ± .83 3.68 ± .71
t (p-value) 1.135 (0.257) 1.626 (0.105) 1.012 (0.312) 1.338 (0.182)
Personality type Openness 4.14 ± .66b 3.79 ± .55 4.03 ± .72c 3.99 ± .59
Conscientiousness 3.70 ± .76a 3.54 ± .72 3.53 ± .81a 3.59 ± .73
Extraversion 3.99 ± .66ab 3.61 ± .68 3.92 ± .68bc 3.84 ± .62
Agreeableness 3.80 ± .69a 3.56 ± .48 3.67 ± .72ab 3.68 ± .57
Neuroticism 3.94 ± .61ab 3.57 ± .65 3.84 ± .74abc 3.78 ± .61
t (p-value) 2.443 (0.048*) 0.972 (0.424) 2.962 (0.021*) 2.288 (0.061)

학년에 따라서는 1학년의 임상실습 기대감이 가장 높았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기대감은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00).

관심 교과목에 따른 임상실습 기대감은 전체적으로 안과학에 관심있는 학생들의 기대감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안광학, 안경학, 검안학, 콘택트렌즈학 순서로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일반적 기대감은 전체적 기대감과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은 관심교과목이 안과학인 경우 가장 높았고 안경학, 안광학, 검안학, 콘택트렌즈학 순서로 낮아졌다(p<0.05).

성격유형에 따라서는 일반적 기대감과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일반적 기대감은 개방성의 기대감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외향성, 정서민감성, 원만성, 성실성 순서로 낮아졌다(p<0.05).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도 개방성의 기대감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외향성, 정서민감성, 원만성, 성실성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p<0.05). 성격유형은 성격5요인(Big 5)을 따랐는데 개방성 유형은 새로운 곳에 대한 관심이 높아[17] 모험과 여행 등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직 경험해 보지 못한 임상실습에 대해서도 큰 기대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 기대감 영역 간의 상관관계

기대감 영역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Table 4) 가장 강한 상관관계는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이 높을수록 일반적 기대감이 높은 것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r = 870). 이러한 결과는 임상실습의 전 과정이 학교가 아닌 실습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임상실습에 있어 실습기관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실습기관에 대한 기대감이 일반적 기대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able 4. 
Correlations between different expectations of clinical practice
Division General
expectation
School
related
expectation
Practice
institutions
related
expectation
General expectation 1.000
School related expectation .762
(p<0.001)
1.000
Practice institutions related expectation .870
(p<0.001)
.707
(p<0.001)
1.000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5. 임상실습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체 임상실습 기대감을 종속변수로 하고 일반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는 단계적 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이들 독립변수들이 임상실습 기대감을 19.3%로 설명하고 있었으며 F = 6.279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는데 임상실습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년만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기대감은 감소하였다.

Table 5. 
Results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ariable B SE B Beta T Sig
Constant 4.311 .493 . 8.751 .000 R2 = 0.193
F = 6.279
Sig = .000
Gender .034 .085 026 .404 .687
Grade −.304 .050 −.397 −6.121 .000
Desired working place .015 .046 .022 .330 .742
Subject of interest −.033 .031 −.072 −1.044 .298
Optometrist family present .108 .093 .074 1.161 .247
Desired startup of optical shop −.085 .092 −.063 −.922 .358
Personality type −.016 .031 −.034 −.529 .597
*p<0.05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t α=0.05

이러한 결과는 고학년과 비교할 때, 1학년은 전공지식과 안경원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지만 미래에 대한 호기심과 희망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기에 임상실습에 대한 기대감도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임상실습 기대감이 낮아진 것은 학교교육과 임상실습 사이에 큰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안경원 현실에 대한 부정적 생각이 증가하여 기대감이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나타나는 임상실습에 대한 기대감 하락이 효율적인 임상실습 수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그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습기관의 임상실습 만족도(4.08 ± 0.64)에 비해 실습생의 만족도(3.50 ± 0.68)가 낮았다는 연구결과[4]를 고려할 때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실습 전 가지고 있던 기대감이 충족되어야 한다.

또한 An 등[16]은 학생들의 일상적 스트레스(1.85 ± 0.83) 보다 임상실습 스트레스(2.25 ± 0.63)가 더 높았다고 하였으며 임상실습 참여 후 희망진로가 변경되거나[7] 향후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9] 따라서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효율적 실습 수행을 통해 진로를 선택하고 직업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실습 전 학생들의 기대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이를 반영한 실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한 대학의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서 안경광학과 재학생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나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임상실습에 관한 기대감을 파악한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효과적인 임상실습의 수행을 위해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 론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기대감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서 임상실습을 앞둔 총 219명의 안경광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실습 기대감은 일반적 기대감(평균 3.90±0.69),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평균 3.78±0.75), 학교 관련 기대감(평균은 3.60±0.62) 순으로 학교 관련 기대감이 가장 낮았다.

일반적 기대감 중에서는 ‘진로결정 및 취업준비’에 대한 기대감(4.04 ± 0.80)이 높았고 학교관련 기대감 중에서는 ‘학교교육이 임상실습에 도움’될 것이라는 기대감(4.04 ± 0.83)이 높았다. 실습기관에 대한 기대감 중에서는 ‘인적관계 형성’에 대한 기대감(3.85 ± 0.77)이 높았다.

임상실습 기대감은 학년, 관심 교과목, 성격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학년의 임상실습 기대감이 가장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기대감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p = 0.000). 관심 교과목이 안과학, 안광학인 학생들의 임상실습 기대감이 높았으며(p<0.05) 개방성 성격유형을 가진 학생들의 임상실습 기대감이 높게 나타났다(p<0.05).

기대감 영역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실습기관 관련 기대감이 높을수록 일반적 기대감이 높았다. 임상실습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으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임상실습 기대감이 낮았다.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효율적인 임상실습을 위하여 요구도와 기대감을 분석하여 반영하고 기대감이 낮은 요인을 개선하려는 학계와 산업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동남보건대학교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Korean Optometric Association, Gallup Korea. Survey on the use of glasses and contact lenses nationwide in 2019. AnKyungGye. 2019;50-55.
2. Lee OJ, Park HK. Study on the usefulness of the classification in ophthalmic optics’ curriculum for students and optometrist: focusing on three-year educational system in gyeonggi provinc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 18(4):413-428.
3. Shin JA, Jung SH, Lee OJ.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needs of clinical practice in opthalmic optics students and optical shop owner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4):353-363.
4. Lee OJ, Jung SH, Shin JA.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opthalmic optics students and optical shop owner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4):363-373.
5. Park HK, Lee HS, Lee YI, et al. Study on the satisfactions of ophthalmic optics’ curriculum for students and industry: focusing on three-year educational system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Vis Sci. 2013;15(4):323-332.
6. Gu H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by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08;14(2):205-215.
7. Kim SY, Kim CH, Song JY, et al. An investigation of factors which influence physical therap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clinical practice. Phys Ther Korea. 2004; 11(3):71-84.
8. Lee C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ition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clinical training of dental hygiene students.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2002;20(1): 93-100.
9. Park MY.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stress factor of clinical practice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J Dent Hyg Sci. 2006;6(4):243-249.
10. Yi SJ, Park YK. A survey on attitude related to physical therapy students’s clinical practice. J Korean Soc Phys Ther. 1993;5(1):25-37.
11. Lee SM, Kim SH. Effect of clinical practi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professional identity. J Korean Soc Dent Hyg. 2011;11(2):189-196.
12. Lee OJ, Shin JA, Jung SH.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in ophthalmic optic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0;15(4):319-328.
13. Lee IH, Ryu KH, Jung SA. A study on appropria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carried out task elements compare with job analysi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 17(4):345-352.
14. Lee JY, Hwang HK. A study on the stressor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phthalmic optics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7;22(4):299-309.
15. Hwang HK, Lee JY. The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 on clinical(on-the-job) training satisfaction in some optometry majors: the mediating effects of problem-solving ability.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8;23(3):191-202.
16. An YJ, Kwon OH, Park CW, et al.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in ophthalmic optics students. Korean J Vis Sci. 2019;21(1):23-35.
17. Jang HJ, Leem HS. Effects of vision training according to big5 personality trait. Korean J Vis Sci. 2019;21(1):99-115.